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어떻게 죽을 것인가… 주체적으로 대면하는 '웰다잉' 사회 인식 필요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주체적으로 대면하는 '웰다잉' 사회 인식 필요

입력
2015.07.16 17:24
0 0

“어떤 임종을 원하냐고 물으면 대부분 연명의료를 받지 않고 가족과 함께 맞는 평온한 죽음을 택하겠다고 하지만 막상 자신의 부모에 대해서는 호스피스로 모시길 꺼립니다. ‘웰다잉(Well-Dying)’ 하도록 사회적 인식을 바꿔야 합니다.”

지난 3월 출범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국민본부 10,000+’ 대표로 활동하고 있는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은 나이가 들다 보니 자연스럽게 죽음을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강경식 전 경제부총리, 강성모 카이스트 총장, 김모임 전 보건복지부 장관, 소설가 김주영씨 등 정ㆍ관ㆍ학계 인사 80여명이 참여한 이 단체의 이름에 들어간 ‘10,000+’는 1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겠다는 뜻이다. 그런데 벌써 1만5,000명 가까이 서명했다. 이들은 ‘죽음의 질’ 평가에서 세계 40개국 중 32위로 하위권인 우리 현실에서 호스피스 제도 정착을 위한 법률 제정과 정책 추진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 전 장관은 “아직 유교 전통이 강해 자식 된 입장에서는 부모님을 어느 정도 병원에서 치료를 받도록 해야 마음의 부담을 덜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 의식도 없는 상태에서 기도삽관 등을 받으며 연명하길 원하는 이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단체 발기인으로 참여한 서이종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도 “생명을 인위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의생명공학시대에 죽음은 병원의 치료실패로 여겨지고 있지만 삶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하는 것처럼 죽음에 대한 고민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죽음을 피동적이 아닌 주체적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해야 그 삶을 의미 있게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말기암 환자를 넘어 다른 질환까지 호스피스완화의료가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적지 않다. 장윤정 국립암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과장은 “말기 암 진단을 받으면 보통 두달 안에 갑자기 상태가 악화돼 임종을 맞게 되는데 치매나 만성질환의 경우 보험수가 적용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건보재정 소요가 크고, 말기암 만큼의 통증 치료가 필요하지 않아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채지은기자 cj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