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당내 갈등 양상도 만만치 않다. ‘김상곤 혁신위’의 2차 혁신안에 대해 비노 중진들 중심으로 “친노 패권주의를 더욱 강화 유지하기 위한 술책”이라는 비난이 나오고, 취지는 좋지만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표시하는 시각도 상당하다. 9일 오후에는 중앙당 당직자 출신과 당원 등 100여명이 “새정치연합에 어떠한 희망도 없다”며 탈당과 함께 신당 추진을 선언했다.
‘김상곤 혁신위’가 8일 발표한 2차 혁신안은 계파정치의 근본적 청산을 목표로 한 현행 최고위원제와 사무총장직의 폐지가 핵심이다. 최고위원회의가 계파정치의 온상이고, 사무총장직 또한 계파 갈등의 핵심 포스트였으니 아예 없애버리자는 파격적 발상이다. 김 위원장은“새정치연합의 당헌 당규보다 계파의 기득권이 우선되는 상황에서는 어떤 혁신안도 유효할 수 없고 실천될 수 없다”고 밝혔다. 그 동안 야당의 최대 문제가 계파 갈등과 지분 나눠먹기였다는 점에서는 일리 있는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최고위원회의 대체기구 구성이 쉽지 않은 데다 과거 당 총재 시절처럼 당 대표의 권한만 강화되는 게 아니냐는 반론도 크다. 사무총장직 폐지 대신 총무ㆍ조직ㆍ전략홍보 등 5개 본부장 체제로 개편하고 본부장들을 공천기구에서 배제키로 한 것은 권한을 분산한다는 취지다. 하지만 본부장 인사권을 당 대표가 가지면 이 역시 권한집중 논란을 부를 수 있다. 공정한 공천을 위해 선출직 공직자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위원 전원을 외부인사로 구성하는 방안도 위원장을 당 대표가 임명하도록 돼 있어 공정성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혁신위가 아무리 고심을 거듭한들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다른 평가가 나올 수밖에 없다. 야당이 향후 총선과 대선 승리를 위해 정말 혁신을 원한다면 혁신위의 방안이 자신의 이해에 맞지 않는다고 무조건 거부할 게 아니라 생산적인 비판을 해야 한다. 혁신위도 혁신안에 대한 반대를 모두 기득권 지키기로 몰아붙이지 말고 열린 자세로 수용할 것은 수용해 가다듬어가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다수가 공감하는 혁신안을 만들어내지 못하면 야당 분열은 피하기 어렵다. 벌써 그 조짐이 구체화하고 있다. 그 동안 거부권 정국에 가려져 있었지만 제1야당이야말로 최대 위기상황에 처해 있음을 깨닫고 분발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