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대안학교, 다양성 햇빛 뒤 혼탁의 그림자

알림

대안학교, 다양성 햇빛 뒤 혼탁의 그림자

입력
2015.06.20 04:40
0 0
학교 부적응 학생들이 위탁 교육을 받는 대전의 대안학교 '신나는 배움터 두런두런'에서 17일 기타 수업이 진행 중이다. 이 수업은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내 이루어졌다. 신상순 선임기자ssshin@hankookilbo.com
학교 부적응 학생들이 위탁 교육을 받는 대전의 대안학교 '신나는 배움터 두런두런'에서 17일 기타 수업이 진행 중이다. 이 수업은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내 이루어졌다. 신상순 선임기자ssshin@hankookilbo.com

대안(代案)학교. 1990년대 후반부터 입시 경쟁 위주의 공교육 대안으로 제도 교육 바깥에서 분 바람이다. 아이들의 다양성을 맞춰주지 못하는 학교가 문제라는 관점에서다. 무엇을 문제로 보느냐에 따라 여러 대안이 나올 수 있듯이 너도나도 ‘대안’을 내걸면서 대안교육의 의미가 혼탁해졌다. 지금은 노골적으로 엘리트교육을 하거나 다문화, 탈북 청소년을 위한 학교, 실용음악을 가르치는 곳들도 대안학교 범주 안에 들어와있다. 현재 250여개 대안학교(위탁형 제외)에 1만5,000명이 다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공교육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2001년부터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해 시·도교육청이 지정하는 위탁형 대안학교가 설립됐고, 공립형 대안학교 신설, 일반 학교의 대안학교로 전환도 2010년 이후 생겨났다. 그러나 대안학교 이미지는 여전히 호의적이지 않다. 문제아 학교 아니면 귀족 학교라는 인식이 그렇다. 자존감을 잃은 채 ‘좀비’처럼 일반 학교를 다니기보다 대안학교가 나은 선택일 수 있지만 현실의 문턱에서 꺼리는 경우도 많다. 그건 사회적 편견과 함께 ‘대안 없는 사회’에서 살아야 하는 진로 불안에 기인한다. 정부 역시 다양성을 북돋우기 위한 지원과 관심을 아끼지 말아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하태욱 건신대대학원대학교 대안교육학과 교수는 “교육당국에서 대안학교를 만들면서 다양한 교육 수요를 표방하지만 레토릭에 불과하다”며 “여전히 대안학교를 문제아 수용소로 보는 시각이 팽배하다”고 말했다.

권영은기자 you@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