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리적 한계로 교류가 적었던 중미 6개국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현지시간) 윤상직 장관이 미국 휴스턴에서 과테말라·엘살바도르·온두라스·니카라과·코스타리카·파나마 등 중미 6개국과 통상장관회의를 갖고 한·중미 FTA 협상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6개국은 1960년 중미 경제통합기구(SIECA)를 구성해 역내 무관세, 역외 공동관세를 적용하며 경제적 통합 정도가 높은 편이다.
SIECA는 지난해 기준 인구 4,350만명, 국내총생산(GDP) 2,098억 달러로 시장규모가 작다. 우리와 교역규모도 지난해 50억달러이며 자동차, 전자, 섬유 등을 수출하고 커피 열대과일 금속 등을 수입한다.
그러나 최근 10년 사이 양측 간 무역 규모가 2배로 늘었고 지정학적으로 북미와 남미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라 소홀히 할 수 없는 곳이다. 특히 정부는 대만(파나마·온두라스·엘살바도르)과 중국(코스타리카)이 일부 국가와 FTA를 체결했지만 6개국 모두와 FTA를 맺은 아시아 국가는 없어 한-중미 FTA가 체결되면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있다.
무엇보다 한-중미 FTA가 체결되면 현재 평균 20%대(파나마, 과테말라 제외)의 높은 수입 관세를 적용받는 자동차와 부품, 휴대폰, 철강 구조물·아연도금 강판 등 건설자재, 편직물 등이 관세 효과를 누리며 중국산 저가품 대비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현지 공공보건 기반시설 확대 및 의료장비 현대화로 수요가 늘고 있는 의료기기와 한류 열풍으로 인기가 높은 식·음료품도 FTA의 혜택을 누릴 것이란 전망이다. 하지만 과일 등 농수산 분야는 피해가 예상된다.
박민식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