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판 등 온라인ㆍ모바일 이미 유통
"미확인 정보에 정부가 혼란 유발"
국민 불안감을 이유로 정부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확산경로와 감염 병원 등 관련 정보를 일절 숨기고 있지만, 정작 인터넷과 모바일 메신저에서는 이런 정보가 공공연하게 유통되고 있다. 이미 국민이 다 알고 있거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정부가 애써 감추면서 오히려 메르스 유언비어와 괴담 확산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온라인과 모바일 메신저 등에는 ‘메르스 확산지도(http://mersmap.com)’를 알리는 글이 돌아다녔다. 이 사이트에 접속하면 감염자가 발생한 병원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까지 구체적인 이름과 지역이 공개된 병원은 14곳으로 전날 보건당국이 밝힌 병원 수와 일치한다. 시민 제보를 토대로 만들어지는 해당 사이트는 관리자가 입증 가능한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갱신되고 있다. 루머를 걸러내기 위해 아예 글쓰기 기능을 없앴고, 제보가 루머라는 신고가 5회 접수되면 자동으로 데이터가 삭제돼 상당한 정확성을 자랑한다.
보건의료노조도 3일부터 메르스 감염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하는 ‘메르스 상황판’을 만들어 홈페이지(http://bogun.nodong.org)에 공개 중이다. 상황판에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하는 메르스 환자현황과 위기경보수준 조치상황을 비롯해 발병현황, 정부 및 보건노조의 대응, 언론기사 등 메르스 관련 종합 정보가 망라돼 있다. 또 참고자료를 통해 ▦초기대응 및 환자 확산과정 상황 요약 ▦17개 국가지정 입원병원 목록 ▦국내환자 발생 리스트 등 정부가 공개를 꺼리는 내용까지 가감없이 올라와 있다.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정보교류 역시 활발하다. 정부가 숨기고 있는, 메르스 환자가 거쳐간 병원 명단이 전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카카오그룹, 네이버밴드 등에는 넘쳐나고 있다.
시민 스스로 메르스 예방책 마련에 분주한 분위기와 달리 정부는 여전히 정보독점을 고집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온라인상에 유포되는 미확인 정보를 확인할 길이 없어 혼란만 가중된다는 비판이 무성하다. 의료기관들 역시 메르스 확산의 주범으로 꼽히며 애꿎은 피해를 보고 있다. 수도권 A병원 관계자는 “음압시설(병실 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시설)을 이용해 메르스 의심환자를 격리 치료했을 뿐인데, 병원 정보가 암암리에 돌면서 환자수가 급감하고 있다”며 울상을 지었다. 실제로 대전 소재 대학병원 두 곳은 이날 메르스 환자 유치 사실을 공개적으로 알릴 계획이었다가 돌연 취소하기도 했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의 권준욱 기획총괄반장은 “(자체 공개를 취소하라고) 압력을 넣었다는 것은 사실과 무관하다”면서도 “(의료기관명 공개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 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시민단체는 메르스 정보 공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16개 단체로 구성된 ‘메르스 확산 차단과 국민안전을 위한 시민공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 불신과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면 정확한 정보전달과 대응매뉴얼을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발병원인, 경로, 지역, 병원 명단 등을 알리는 공개방역체제로 전환하라”고 요구했다.
박주희기자 jxp938@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