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메르스 발생 병원 대체 어디?'…공개 논란 재점화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메르스 발생 병원 대체 어디?'…공개 논란 재점화

입력
2015.06.02 13:46
0 0

"경각심 갖고 대비하게 해야"vs"오해·걱정 양산" 팽팽

2일 오전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 입구에 설치된 메르스 의심환자 격리센터(의심증상 검사 및 임시 수용시설) 앞에서 한 시민이 마스크를 쓴 채 아이를 안고 어린이병동으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연합뉴스
2일 오전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 입구에 설치된 메르스 의심환자 격리센터(의심증상 검사 및 임시 수용시설) 앞에서 한 시민이 마스크를 쓴 채 아이를 안고 어린이병동으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빠르게 퍼지면서 이 병의 발생 지역과 환자가 머문 병원 이름을 대중에 공개할지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한국인 메르스 확진자가 건너갔던 홍콩이 우리 정부에 '메르스 환자가 다녔던 한국 병원 이름을 자국민에게 공개할 필요가 있다'며 명단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보건 당국의 고심이 한층 깊어질 전망이다.

보건 당국은 지난달 20일 첫 메르스 환자 확인 이후 발병 지역과 관련 병원에 대해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지역과 병원을 밝히면 주민들의 공포를 부채질하고, 병원에 불필요한 '낙인'이 찍혀 환자들이 내원을 꺼리는 등 피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메르스 환자를 당국에 신고해야 할 병원들이 경영상 피해 때문에 환자 입원·내원 사실을 숨겨 방역망이 뚫린다는 우려도 주요 이유로 거론된다.

이와 관련해 권준욱 중앙 메르스중앙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지난달 31일 브리핑에서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도 전염병 확산 시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지역이나 병원명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반론도 팽팽하다. 메르스가 환자 25명에 3차 감염자까지 나오는 등 확산에 속도가 붙은 만큼, 지역과 병원을 공개해 해당 지역 사회가 적극적으로 확산 방지 및 감염 예방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카카오톡 등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출처가 불명확한 메르스 발병 지역 및 병원 명단이 대거 도는 만큼 투명한 정보 공개가 불안감 해소에 더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정부가 메르스와 관련된 '유언비어'를 엄중히 단속하겠다고 밝혔지만, 전염병 위험 지역을 가장 궁금해할 수밖에 없는 대중의 현실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비판도 있다.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1일 성명에서 지역과 병원명을 공개하고 메르스로 피해를 본 의료기관에는 국가 보상을 해주는 정책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보건 당국은 의료인에게만 제한적으로 관련 정보를 공개키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의료진이 특정 환자가 메르스 발병 병원을 거쳤는지, 확진자와 긴밀한 접촉을 했는지를 PC로 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것이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역·병원명 전면 공표에 관해서는 "그 같은 고민에 근거가 많지 않다고 본다"며 공개에 부정적 견해를 유지했다.

외국의 공개 압박이 또다른 골칫거리가 될 수도 있다. 한국인 6명을 포함해 19명의 메르스 감염 의심자를 격리한 홍콩은 우리 정부 측에서 한국 발병 병원 명단을 요구해 이를 자국민에 공개하는 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당국이 우리 측에서 병원 명단을 받아 공표한다면, 이 정보가 한국으로 재유입돼 비공개 원칙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국내 웹사이트와 SNS에서는 '병원에 갔더니 메르스 발병 의료기관을 제시하면서 내원 여부를 묻더라' 등 글과 함께 출처가 불명확한 병원 명단이 도는 경우가 적지 않다.

메르스는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최초 확인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으로, 치료제나 백신은 없지만 건강한 사람은 걸려도 자연 치유될 수 있다.

메르스는 애초 병의 전염력이 유사 질환인 사스(SARS)보다 약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한국에서는 환자 2명이 숨지고 3차 감염까지 발생해 대규모 확산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