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메르스 확진 환자 수가 25명에 이르고 3차 감염자까지 발생하면서 환자 치료 및 감염 의심자에 대한 격리가 제대로 이뤄질지에 대한 불안도 커지고 있다.
현재 메르스 환자 25명은 바이러스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는 음압병상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각종 감염병 치료를 위해 전국 17개 병원을 국가 지정 입원치료 격리 병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이중 음압병상은 105개다. 수치상으로는 음압병상에 최대 105명의 환자까지 수용할 수 있지만, 일부 병상은 다인실이어서 1명씩 격리해 치료해야 하는 메르스 환자를 몇 명이나 수용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또 여러 의사와 간호사가 대거 투입돼 집중 치료를 시행해야 하는데, 환자가 급증하면 의료인력 수급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가 의료현장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서울의 한 국가지정격리병상은 메르스 환자 치료를 위한 의료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중환자실을 폐쇄하고 중환자실에 있던 기계를 사용하면서 긴급히 장비를 새로 사들였다. 이 병원에는 현재 5명의 메르스 환자가 입원 중이다. 메르스 환자를 위해 17명의 의사가 협진하고 있는데 이들을 교체할 인력도 없다. 보건의료노조는 “복지부로부터 메르스 환자 격리치료 준비를 하라는 지침을 받은 지방의료원은 음압병실이 있기는 하지만 일반병동에 설치돼 있어 이를 사용하려면 주변 입원 환자들을 모두 내보내야 하고, 음압병실에는 환자치료를 위한 시설과 장비가 거의 갖춰져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감염이 의심되는 격리 대상자에 대한 통제도 문제다. 2일 복지부에 따르면 전날 오전 기준 격리 대상자는 약 682명이었다. 이들은 당초 환자가 15명 발생했을 때 이 중 8명이 따로 격리되지 않았던 환자라 이들이 다닌 병원 등에서 접촉한 의심자들이다. 그러나 1일 3명, 2일 6명의 추가 환자가 발생했고 이들 모두 초기 격리 대상에서 빠졌던 환자들이라 이 9명이 갔던 병원 및 접촉한 주변 사람들을 추적해 격리하면 격리자는 1,000명을 초과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정부는 50대 이상이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의심자가 아니면 여전히 자택격리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또 메르스 고위험군인 50대 이상 혹은 기저질환이 있는 의심자는 의무적으로 별도 시설에 격리하겠다고 지난달 31일 발표했지만 1일 기준 시설 격리에 응한 의심자는 4명뿐이다. 또 복지부가 전국 2곳에 마련한 격리 시설의 최대 수용 인원은 150명 정도다. 전체 의심자의 35% 가량이 50대 이상이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지만, 이들을 다 격리할 규모에는 턱없이 모자라는 것이다. 권준욱 복지부 메르스중앙대책본부 총괄반장은 “격리자가 늘어날 경우 격리 시설은 추가로 지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남보라기자 rarara@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