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전 회장이 이끌던 경남기업의 부실화로 금융권, 협력업체 및 개인투자자들이 함께 부담할 손실이 1조1,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15일 상장폐지된 경남기업에 대출(보증 포함)한 금융기관은 총 17곳으로 최종 확인됐다. 그 중 수출입(5,208억원), 신한(1,761억원), 산업(611억원), 농협(521억원), 수협(517억원), 국민(453억원), 우리(356억원), 광주(326억원), 기업(229억원), 대구(21억원) 등 은행 10곳의 대출이 약 1조원대로 집계됐다.
우리종금(49억원), SBI저축은행(45억원), KT캐피탈(25억원) 등 비은행 3곳의 대출은 118억원이었고, 대우증권(190억원), 유안타증권(45억원) 등 증권사 2곳은 235억원을 빌려줬다.
이밖에 서울보증보험(3,148억원)과 무역보험공사(28억원)가 주로 계약이행 보증 형태로 3,176억원을 지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기관 17곳의 총대출은 1조3,500억원을 넘고, 그 중 담보가 없어 회수할 수 없는 손실액이 7,400억원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출입(200억원), 신한(132억원), 산업(109억원), 수협(62억원), 농협(56억원), 국민(50억원) 등 13개 금융기관은 상장폐지된 경남기업 주식에서도 모두 750억원대의 손실을 봤다.
이에 따라 금융권이 경남기업 사태로 입을 손실은 총 8천100억원대에 달할 전망이다.
올해 2월 말 기준으로 1,623곳에 달하는 경남기업 협력업체가 볼 피해도 2,50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회생절차에 들어갈 경우 채권에 대한 원금 회수율이 30% 수준”이라며 “경남기업 협력업체가 받을 채권이 3,560억원 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 손실액은 2,500억원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영세업체 위주인 경남기업 협력업체의 줄도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남기업의 상장폐지로 개인투자자 7,900여 명이 떠안은 최종 손실은 약 350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경남기업 주식이 정상거래된 마지막 날 기준으로 성 전 회장, 관련 계열사 및 채권단을 제외한 주주가 보유한 시가총액이다.
김진주기자 pearlkim7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