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명의 금융권 대출 현황 정보를 한데 모은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작업이 지난달 완료됐다고 한국은행이 21일 밝혔다. 표본 규모, 자료의 신뢰성 등에서 기존에 쓰이던 가계부채 미시통계보다 월등해 보다 체계적인 가계부채 파악 및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은에 따르면 이번 가계부채 DB는 국내 민간 신용정보회사인 나이스평가정보로부터 제공받은 익명의 금융권 대출자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됐다. 대출자별로 성별, 연령대, 거주지(광역단체 단위), 신용등급 등 특성 정보와 함께 금융권 대출 및 상환 현황, 신용카드 이용 내역, 연체 현황 등 신용거래 정보가 포함된다. 가계부채 DB는 표본으로 선정된 100만명의 신용정보로 구성되며, 분석의 연속성을 위해 신규대출, 상환, 사망 등으로 인한 유출입을 제외하고 표본을 그대로 유지한다.
가계부채 DB를 활용하면 연령ㆍ지역ㆍ신용등급별 부채 잔액 및 신규취급액, 취약계층 부채의 변동, 은행ㆍ비은행 간 대출 전환 등이 다양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그동안 가계부채 미시분석에 활용돼온 가계금융ㆍ복지조사 통계가 응답자 답변에 의존하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했고 표본 수도 2만가구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표본 규모나 정보 신뢰성 측면에서 진일보했다는 평가도 따른다. 한은은 나이스평가정보로부터 분기별로 신용거래 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가계부채 DB를 갱신하는 한편, 통계청 승인을 받는대로 자료를 공개할 계획이다. 연간 통계였던 가계금융ㆍ복지조사에 비해 신속한 가계부채 현황이 가능할 전망이다.
가계부채 DB는 관계당국 협의체인 가계부채관리협의회의 가계부채 대책 수립 등에 활용된다. 가구가 아닌 개인 정보로 작성됐고 개인 소득 및 자산 정보가 포함돼 있지 않은 점은 가계부채 DB의 한계다. 박영환 한은 가계부채DB반장은 “신용정보회사가 보유한 개인소득 자료는 개인이 대출을 받을 당시 밝힌 소득정보를 바탕으로 한 추정치”라며 “가계부채 DB를 통해 소득분위별 가계부채 현황 등을 정확히 산출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훈성기자 hs021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