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북한과 러시아가 최근 들어 협력의 끈을 부쩍 강화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6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러시아가 ‘동진 정책’의 일환으로 북한에 공을 들이고 있으며, 북한도 올해를 ‘우정의 해’로 선포하는 등 환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는 국제사회의 외교적ㆍ경제적 따돌림을 극복하고, 북한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북한과 러시아의 교류 확대는 최근 2년간 두드러졌다. 유리 트루트녜프 러시아 부총리는 지난해 4월 옛 소련 붕괴 이후 처음으로 평양을 방문했고, 가을에는 북한의 리수용 외무상과 최룡해 당비서가 러시아로 18일 동안 장기 출장을 다녀왔다.
내달에는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제2차 세계대전 승전 기념식 참석을 위해 첫 외국 방문에 나서며 양국 관계가 절정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이 과정을 통해 과거 경제적 알맹이는 없고 정치적 수사만 가득했던 때와 달리 실속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있다. 러시아가 지난해 10월 석탄 등 북한 광물자원에 대한 접근권을 대가로 3,500㎞에 달하는 북한 철도 개선 사업에 합의한 일이 대표적이다. 2013년 9월에는 러시아 카잔과 북한의 특별경제구역인 나진ㆍ선봉을 잇는 철도 연결을 완성하기도 했다.
러시아는 북한에 직접적인 경제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해 식량 5만톤을 북한에 제공하며, 1990년대 초반 북한으로 보낸 식량에 대해 대가 지불을 요구해 손상됐던 양국 관계의 회복을 시도했다. 또 북한이 러시아에 지고 있는 110억달러 부채 가운데 100억달러를 탕감해주고, 나머지도 경제협력 사업 투자로 전환했다.
북한과 러시아의 밀월관계에 대해 한국 측은 회의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6자회담 한국측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북한은 김일성 주석이 러시아와 중국의 분열을 이용해 양쪽 지원을 이끌어 냈던 것처럼 러시아를 대 중국 관계의 지렛대로 삼으려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도 “북한은 러시아가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때만 북한에 투자할 것이라는 점을 머지않아 알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지후기자 ho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