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4ㆍ29 재보선에 ‘3무(無) 전략’으로 임한다고 한다. 전략공천, 야권연대, 정권심판론 네거티브 캠페인은 지금까지 총선이나 재보선 전략에서 야당의 필수 ‘3종 세트’였다. 그런데 이 3종 세트 없이 4ㆍ29 재보선을 치르겠다는 것이다. 서울관악을, 인천서ㆍ강화을, 광주서을, 경기성남중원 등 재보선 4개 지역 판세에 비춰 전패를 각오하지 않고는 구사하기 어려운 전략이다. 일단 그 용기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미 각 후보들을 중앙당에서 내리 꽂는 전략 공천이 아니라 경선 등을 통해 확정했다. 전략공천은 필연적으로 계파 싸움을 부른다. “계파의 ‘ㄱ’자도 안 나오게 하겠다”고 다짐한 바 있으니 그럴 만했다. 그에 비해 당장 승패가 걸린 야권연대 포기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4개 재보선 지역 중 3곳이 통진당 해산에 따른 것이다. 여당의 종북공세 프레임때문에라도 야권연대를 거론하기가 어렵다. 선거마다 들고나온 야권연대에 유권자들이 식상해 한다는 점도 감안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비(非)네거티브 선거전은 정권심판론 따위의 전략이 더 이상 먹히지 않는다는 반성에서 출발했을 터이다. 오히려 유능한 경제정당으로의 변화를 부각시켜 경제 살리기에 실패한 현 정부와 자연스레 비교되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 같다. 하지만 대안 중심의 포지티브 선거전략이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먹혀 들지는 미지수다. 그런 점에서 네거티브에서 포지티브 선거전략으로의 전환은 모험이자 가장 용기가 필요한 선택이다.
문 대표의 3무 전략을 놓고 어차피 좋은 성적을 내기 어려운 4ㆍ29 재보선 출구전략으로 의심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패배 시 책임회피의 의도도 깔렸다는 것이다. 또 분열이 곧 패배를 뜻하는 선거구도에서 야권연대 포기는 양날의 칼일 수도 있다. 그러나 눈앞의 재보선보다 내년 총선과 그 다음해 대선이란 큰 판을 염두에 두고 야당의 구태를 탈피하려는 노력으로 일단은 기대하고 싶다. 포용적 성장을 축으로 한 경제정당화와 함께 재보선 3무 전략의 귀추를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자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