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실물경기 ‘휘청’
작년 12월 대비 광공업생산 -3.7%, 6년여 만에 최대 감소
전산업생산도 1.7%↓, 22개월 만 최대 하락
연초부터 불안감을 높이는 수출 부진세에 이어 1월달 실물경기 지표도 대폭 뒷걸음쳤다. 정부는 “1회성 특이요인 탓”이라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지만 경기가 본격 악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7% 감소했다. 이는 2013년 3월(-1.8%) 이후 22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이다. 전산업생산은 지난해 9월(-0.7%), 10월(0.4%), 11월(-0.1%), 12월(1.3%)로 증감을 반복하다가 감소폭이 확대됐다.
제조업 경기를 대표하는 광공업생산도 -3.7%로 3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직후인 2008년 12월(-10.5%) 이후 무려 6년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정부는 일단 1월달의 실물경기 부진은 1회성 요인 영향이 컸다는 입장이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지난해 12월 광공업생산이 2009년 9월 이후 5년3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컸다”며 “1, 2월 자동차와 선박업계 등이 휴무하는 등 특이 요인에 상당 부분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소매판매는 의복 등 준내구재(-7.7%),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9%) 판매가 줄어 전월보다 3.1% 감소했다. 소매판매의 감소 전환은 3개월만이다. 김 과장은 이 역시 “담뱃값 인상, 따뜻한 날씨 및 설 이동에 따른 의료ㆍ음식료품 소비둔화 등 일시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설비투자는 전기 및 전자기기 등에서 증가했으나 자동차 일반기계류 등에서 감소해 전월보다 7.1% 떨어졌다. 다만 전월 동월 대비로는 특수산업용기계와 자동차 등에서 투자가 늘어 14.3% 증가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 및 토목공사 실적이 늘어 한달 전보다 6.1% 증가했다. 건설수주(불변)는 철도ㆍ궤도 등에서 감소했으나, 신규주택과 사무실 등의 수주가 늘어 전년 동월 대비 28.3% 증가했다.
제조업의 재고는 전월 대비 0.1% 늘어나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제조업의 출하 역시 전월 대비 3.3% 감소해 3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고, 앞으로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포인트 올랐다.
전백근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지난해 12월 수출 통관을 위해 자동차 생산을 많이 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있다”며 “지난해에는 설이 1월에 있었지만 올해는 2월에 있었던 비경기적 요인도 작용했다”고 말했다.
세종=김용식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