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기자 초청 간담회서 밝혀 당분간 추가 인하에 부정적 입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작년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높아져 금융안정을 위협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주 기준금리 동결 이후 발언과 비슷한 맥락으로 당분간 금리인하에 부정적인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주 한은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3.9%에서 3.4%로 하향 조정한 것과 관련, “3.4%가 외견상 낮아 보일 수는 있지만 이는 이례적 요인 때문이며 한은이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올해 예상되는 분기별 성장률은 1% 내외로 작년보다 낫다”며 “다만 체감경기와 전체 경기 회복세는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추가 금리인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그는 “지난해 두 차례 금리를 내려 금융완화 정도가 확대됐다”며 “금리인하 효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그는 “작년 10월 이후 높아진 가계부채 증가세로 금융안정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이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또 일각의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가까운 시일 내에 디플레가 발생하기는 어렵다”며 “저물가가 2년 넘게 이어진 주된 요인은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하락이며 구조적 변화도 일부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날 이 총재는 구조개혁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성공적인 구조개혁을 위해 중앙은행이 어떤 역할을 할지 고민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그는 구조개혁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경기 회복이 저해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구조개혁은 성장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해 경제 활력을 높이는 과정”이라고 응수했다.
그는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3%대 중반으로 낮아졌다”고 추정하면서 그 배경으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등 인구문제와 고령화 문제를 꼽았다. 그는 “고령화 대책 중 가장 중요한 게 저출산 대책”이라며 “보육시설 확대를 통해 젊은 부부가 일을 하면서 양육 부담을 덜 수 있게 하는 대책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밖에 올해 한국 경제가 맞닥뜨린 위험 요소 중 하나로 각국 통화정책의 상반된 움직임을 지목했다.
김용식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