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등급제와 4,5등급 중 선택
"무의미한 경쟁 줄여 실력 향상"
"영어 논술 면접 등 풍선효과 우려"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치를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영어 점수 산정이 절대평가로 바뀐다. 현재 등급ㆍ표준점수ㆍ백분위로 제공되는 수능 성적은 등급만 제공된다.
25일 교육부는 2018학년도 수능부터 영어 절대평가 도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현행 상대평가 9등급제에서는 상위 4%까지 1등급, 4~11%는 2등급 등 상대적 위치에 따라 등급을 매겼지만 정해진 점수만 넘기면 해당 등급을 받도록 한 것이다.
등급구간을 몇 개로 나눌 것인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금처럼 9등급제를 적용하거나 4~5등급으로 전환하는 두 가지 방안 중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내년 상반기 이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등급을 분할하는 방식으로 일정 점수 이상이면 등급을 주는 고정분할방식과 시험 실시 후 난이도에 따라 기준을 정하는 준거설정방식 중 어느 것을 도입할지도 검토 중이다. 2017학년도 수능부터 필수 과목으로 지정된 한국사는 9등급 절대평가 고정분할방식을 채택했다.
교육부가 이 같은 방안을 내놓은 것은 과도한 학습부담을 줄이고, 학교 영어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다. 줄 세우기식 상대평가 체제에서는 과잉 학습과 수능 대비 문제풀이식 수업이 주를 이룰 수밖에 없다는 시민사회단체의 지적을 교육부가 수용한 것이다. 교육부는 “학교현장의 무의미한 경쟁을 줄이고,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 활성화 등 실제 영어능력 향상을 위해서 절대평가 전환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올해 2월 교육부가 발표한 ‘2013년 사교육비 의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사교육비(약 18조6,000억원) 중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34%(6조3,000억원)였다.
수능 영어를 절대평가로 바꿀 경우 대학이 입시에서 영어 논술ㆍ면접 도입을 확대하거나 영어 대신 다른 교과로 사교육이 전이되는 풍선효과가 우려된다. 교육부는 이를 인식한 듯 수능 난이도 안정화, 학생부 전형 확대를 추진하는 한편, 고교 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등 재정보조와 연계해 영어 논술ㆍ면접 도입을 막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주요 대학이 영어 논술ㆍ면접 등을 도입했을 때 실질적으로 규제할 방안 등이 제시되지 않는 등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구체적인 계획안이 빠져있어 목표대로 사교육을 경감하고, 공교육을 강화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도 “영어만 절대평가로 전환한다고 해서 수능 중심 체제의 문제가 해결되리라 보기는 어렵다”며 “국어ㆍ수학 등 다른 과목도 절대평가화 하고 문제은행 출제 방식 도입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