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원·위안화 직거래 개설, 한중 금융협력 진일보 포문"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원·위안화 직거래 개설, 한중 금융협력 진일보 포문"

입력
2014.11.06 18:47
0 0

"쌍방거래 체제 완성 위해선 中서도 직거래 시장 조성해야"

후앙더 중국은행 한국대표
후앙더 중국은행 한국대표

‘2014 차이나포럼’에서 ‘위안화 직거래 시대, 기회와 도전’ 세션의 주제발표를 맡은 후앙더(黃德ㆍ사진) 중국은행 한국대표는 다음달로 예정된 원ㆍ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을 두고 “한국ㆍ중국 양국이 금융서비스 협력의 포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6일 한국일보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통화 거래량의 안정적 증가를 시장 정착의 선결 과제로 꼽으면서 “원ㆍ위안화 쌍방거래 체제의 완성을 위해선 중국에도 조속히 직거래 시장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중국 5대 국영 상업은행인 중국은행에서 20년 넘게 근무 중인 후앙 대표는 중국 금융계의 대표적 한국통. 1997년 3월 중국은행 서울지점 발령으로 한국 근무를 시작해 경기 안산, 대구, 서울 구로에서 초대 지점장을 맡아 영업 저변을 넓혔고 2010년 한국대표에 취임했다.

-원ㆍ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이 양국 경제에 갖는 의미는.

“양국 경제협력의 중요한 성과이자 금융 분야의 협력을 넓히기 위한 디딤돌이다. 금융 협력은 투자, 무역, 산업구조 개선 등 양국 실물경제 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줄 것이다. 중국 입장에선 세계 100여개 지역에서 추진 중인 위안화 국제화의 일환이다.”

-시장 성공 여부를 어떻게 전망하나. 양국 기대처럼 한국이 역외 위안화 허브로 성장할 수 있을까.

“양국 무역거래에서 발생하는 실질적 외환 수요가 시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국 내 위안화 규모 또한 위안화 허브가 조성된 홍콩, 대만, 싱가포르의 뒤를 잇는 높은 수준이다. 여기에 연간 800만명 이상의 인적 교류, 대규모 상호 직접투자, 한국 대기업과 중국의 우호적 관계 등 서울이 위안화 허브로 도약할 조건은 충분하다.”

-90년대 중반 한국에 개설됐던 원·엔화 직거래 시장은 유동성 부족으로 넉 달 만에 폐쇄됐다.

“양국 기업과 개인이 자국 통화를 활발하게 사용하지 않는다면 시장이 근본적인 타격을 입게 마련이다. 시장 설립 초기인 만큼 수수료 면제 등 금융기관의 참여와 거래를 유도할 수 있는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 한국 정부가 10여 개 은행을 시장조성자로 선정한 것은 유효한 조치다. 다만 소수의 시장조성자가 시장을 독과점화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원화에 앞서 엔화와 호주달러가 각각 2012년과 지난해 상하이에 직거래 시장을 조성했다. 성과가 어떤가.

“엔화를 예로 들면 직거래시장 조성 이전 위안ㆍ엔화 거래량은 320억위안으로 위안·달러 거래량의 0.09%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2년 6월1일 시장 개장 직후 2분기, 3분기 거래량은 각각 1분기 대비 10배, 44배로 늘었고, 지난해 1분기엔 사상 최대인 3,774억위안을 기록했다. 이후 댜오위다오(釣魚島ㆍ일본명 센카쿠열도) 영유권 분쟁으로 중일 관계가 급랭됐음에도 위안ㆍ엔화 거래량은 꾸준히 늘고 있다.”

-위안화 직거래가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란 지적이 있다. 원화 절상, 농축산물 무역적자 심화, 대중국 경제의존도 심화, 달러 위상 축소에 따른 미국·중국 간 통상마찰 격화 등이 대표적이다.

“위안화 직거래가 원화 환율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고 하기엔 환율 결정 요인이 워낙 복잡하다. 농축산업의 경우 중국은 고급 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매력적인 시장이기도 하다. 한국 농가에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 대중 경제협력 강화는 한국의 대외경제 포트폴리오에 균형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볼 수 있다. 각국의 경제적 지위 변화에 따른 마찰과 분쟁은 전세계가 함께 풀어갈 문제다.”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노력이 한창이다. 어디까지 와 있나.

“위안화 국제화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위안화 일일 거래량은 2010년 340억달러에서 지난해 1,200억달러로 증가, 8번째로 거래가 많은 통화가 됐다. 역외 위안화 청산결제 체제 구축의 첫 단계는 완성 단계에 이르렀고, 다음 단계인 위안화 기반 금융상품 거래 및 투자ㆍ융자 활성화로 나갈 채비를 하고 있다.”

이훈성기자 hs021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