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강원본부 '고령화 보고서'
접경지역 제외 65세 인구 20%
27개 지역 공동체 유지 불투명
고령화에 속도가 붙으면서 강원도내 읍ㆍ면ㆍ동 가운데 27곳이 향후 자체 경제활동 유지가 불투명 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강원본부가 26일 발표한 ‘강원도 지자체의 고령화 위험과 대응방안’ 보고서를 보면, 도내 194개 읍ㆍ면ㆍ동 가운데 13.9%인 27곳이 55세 인구 비중이 55%에 이르는 ‘지속가능 곤란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 곤란 지역은 일본에서 사용한 ‘한계집락(限界集落)’ 개념을 적용한 것이다. 현재는 공동체 기능을 유지하고 있지만 고령화로 인해 경제활동 등의 유지가 한계에 가까워진 지역을 의미한다.
특히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강원도내 9개 시ㆍ군에서 55세 이상 인구비중이 13% 포인트 넘게 상승했다. 읍ㆍ면ㆍ동 기준으로는 84개 지역이 상승하는 등 고령화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쉽게 말해 대부분 농어촌 마을에서 50대 초반이 젊은 편에 속할 정도로 고령화가 속도가 빠르다는 뜻이다.
현재 강원지역의 고령화율은 16%로 접경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군 지역은 모두 65세 인구가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들어섰다. 이 추세라면 2030년 29.9%에 이어 2040년에는 고령화율이 40%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더구나 2020년부터는 도내 모든 시ㆍ군에서 생산가능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기반이 취약해 유입되는 인구보다 서울 등 수도권으로 빠져 나가는 경우가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앞서 한국은 고령화사회(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7% 이상)에서 고령사회(65세 이상 전체 인구의 14% 이상)에 진입하기까지 18년이 걸려 ▦프랑스 115년 ▦미국 72년 ▦독일 40년 ▦일본 24년에 비해 훨씬 빨랐다. 초고령사회 진입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를 것으로 보는 예상이 많다. 문제는 사회 고령화가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비롯해 재정구조 악화 등 경제적 문제와 세대간 갈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 강원본부는 “고령화는 경제활동 인구를 감소시켜 지역경제에 충격을 주고, 지방재정 부담을 가중시킨다”며 “여성과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출산율 제고, 인구 유입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은성기자 esp7@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