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방암학회가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최근 발간한 ‘2014 유방암백서’에 따르면 한국인 유방암 발생률이 일본을 앞서며 동아시아 국가 중 최고 자리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2008년 10만명당 38.9명꼴로 발생하던 유방암은 2012년에는 10만명당 52.1명꼴로 급속하게 증가했다. 반면 우리보다 먼저 서구화 추세에 접어들며, 장기간 동아시아 유방암 발병률 1위를 기록한 일본은 2012년 10만명당 51.5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한국이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유방암 발생률을 보인 것은 국제 암 등록 통계 집계 이후 최초다. 나이별로 유방암 환자를 분류했을 때 만 15세에서 54세까지 유방암 발생률이 일본에 앞섰으며, 15세에서 44세까지의 환자 발생률은 미국마저 앞서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간 유방암 환자 발생 역시 1996년 3,801명에서 2011년에 1만6,967명으로 늘어나 15년 사이에 약 4.5배나 증가했다.
유방암의 양상도 변했다. 서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ER+)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세포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꾸준히 반응, 성장이 촉진되는 것이 특징으로 발병 후 오랜 기간이 지나도 재발 위험이 있어 호르몬 치료가 필요한 유형의 유방암이다. 2002년에는 전체 환자의 58.2%였던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 비율이 2012년에는 73%까지 상승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발병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포화 지방 섭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발표한 해외 연구 결과를 보면, 포화 지방 섭취가 많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약 30% 정도 높았다.
우리나라의 식습관도 서구화되며 지방 섭취가 많이 늘어났다. 국민건강통계를 살펴보면, 포화지방이 많은 육류의 1일 섭취량도 1998년 53.7g에서 2012년 85.1g으로 15년 동안 약 60% 상승했다. 지방을 기준 이상 섭취하는 사람도 5명 중 1명(22.1%)이나 됐다.
이에 따라 유방암 예방을 위해 식습관과 생활습관 등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을 평소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의 조언한다. 유방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인자로는 비만, 음주, 흡연, 빠른 초경, 늦은 폐경, 늦은 첫 출산 등이 유방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인자로 알려졌다.
유방암 발병 위험이 커지고 있지만, 의학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유방암 사망률은 OECD 국가 최저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방암 사망률은 일본(9.8명)이나 미국(14.9명)보다 현저히 낮은 10만 명당 6.1명에 불과했다. 의료 선진국으로 꼽는 북미나 유럽 등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수치다.
송명주 한국유방암학회 이사장 (서울성모병원 유방센터장)은 “한국은 이제 서구 선진국과 함께 고위험 국가로 분류될 정도로 유방암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며 “발병 양상이 급격히 서구화되고 있어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유방암 극복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됐다”고 설명했다. 또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예후가 아주 좋으므로 개인이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을 평소에 관리하고, 나이에 맞는 검진을 받으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성환기자 spam001@hksp.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