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인천의 ‘실패’는 평창의 ‘타산지석’이다
평창 개막 앞으로 3년 4개월... 올림픽은 아시안게임과 규모 달라
전문가 중심 조직위 제대로 꾸미고 범 정부처원 지원 노력 기울여야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이 3년 4개월 남았다. 7년의 준비 기간으로도 혹평을 받은 인천 아시안게임을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는 결코 긴 시간이 아니다. 오히려 올림픽 개막 1년전 사전 예행 대회 프레올림픽 기간을 고려하면 ‘머리털이 곤두설 만큼’초읽기에 몰린 것이다. 불행 중 다행일까. 정치권에서도 위기의식을 느낀 듯 하다. 새누리당 김무성 당 대표가 지난 5일 강원 평창 현장을 찾아 준비 미흡을 지적하며 “이래서는 안 되겠다는 큰 걱정에서 오늘 회의를 소집하고 현장 점검을 하러 왔다”고 말했다. 김대표는 6일에도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평창 조직위원회 간에 거중 리더십을 발휘할 컨트롤타워의 부재를 확인했다”면서 “이 역할은 총리실에서 해야 한다. 오늘 중 총리실과 협의해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강조했다. 평창올림픽 준비에 범 정부차원의 지원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김대표의 파격적인 행보와는 별개로 평창의 성공개최를 위해 인천 아시안게임의 실패를 거울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오죽했으면 아시안게임 현장을 누빈 기자들 사이에 “평창은 인천과는 반대로 하면 된다”라는 말이 회자됐을까. 즉 ‘이렇게 하면 안 된다’라는 것을 제대로 가르쳐 주었다는 의미다.
실제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인천시는 2018년까지 매년 4,500억~5,000억원의 원금과 이자를 상환해야 하기 때문에 시의 가용 재원이 ‘0’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평창은 인천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평창 역시 문제는 한둘이 아니다. 지지부진한 경기장ㆍ숙박시설 건설, 인천공항과 평창을 잇는 고속철도를 포함한 사회간접자본(SOC) 시설 등 어느 것 하나 계획대로 진척되는 것이 없다. 실제 2017년 10월까지 준공돼야 할 개ㆍ폐막식 경기장의 공사기간이 30개월인데도 아직 설계조차 이뤄지지 않았고, 2017년 2월까지 준공돼야 할 강릉 스피드스케이트경기장도 공사발주조차 못하고 있다. 기초적인 인프라가 전부는 아니다.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하루가 멀다 하고 터져 나온 선수단과 취재진, 관람객의 불만과 애로사항을 답습하지 않으려면 지금부터라도 시설과, 경기 운영 등에 있어 사전에 꼼꼼히 따져 봐야 한다.
인천 아시안게임은 조직위원회가 대회운영을 총괄했지만 예산 편성과 조직 인원 구성 등 핵심 업무는 문체부가 맡았다. 평창도 별반 다르지 않다.
그 가운데 강원도는 평창올림픽의 주체로 인정 받으려 하지만 올림픽은 사실상 ‘국책사업’으로 진행돼야 할 이벤트다. 지자체 수준에서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뛰어넘기 때문이다. 평창 올림픽조직위는 최근 조양호 위원장이 새로 취임했다. 하지만 정부가 ‘조위원장이 재계회장으로서 업무에 집중할 수 없을 것 같다’라는 이유로 전 문체부 1차관 곽영진 부위원장을 수석부위원장으로 임명한 후 조직위 운영을 총괄하게 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부 주도로 평창올림픽 준비가 진행될 경우 지역 현실이 무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 나오고 있다. 그러나 강원도의 무리한 ‘자리 욕심’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인천 아시안게임을 반면교사로 삼아 우선 조직위원회 구성부터 제대로 꾸리는 것도 급선무다. 인천 아시안게임처럼 중앙ㆍ지방 공무원에 민간이 참여하는 형태가 유력하다. 그러나 나눠먹기 식으로 배분하는 형식은 곤란하다. 구성부터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 대회 후에도 중앙ㆍ지방 정부에서 핵심적으로 일할 수 있는 사람이 조직위에서 사명감을 갖고 제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각계 전문가를 위촉하는 것도 방법이다. 공무원 조직은 순환보직이라는 행정조직의 시스템상 전문성을 키우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오랜 시간 내공을 쌓은 민간 전문가들에게 전문 업무를 맡기고, 문체부와 지자체는 행정지원에 올인 하면 체계적인 업무 분담과 효율적인 조직 관리가 이뤄질 수 있다.
평창 올림픽은 아시안게임과는 규모가 질적으로 다르다. 1988년 서울에서 열린 하계 대회 이후 30년 만에 안방에서 치르는 올림픽이다. 세계인을 상대로 한국의 국격을 제대로 보여주는 대회로 준비하면 그에 따른 소득은 아시안게임과 비할 바 못 된다.
성환희기자 hhsu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