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한주용 교수, 급성심근경색 환자 분석
비만한 사람이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급성 심근경색증 위험도가 사람보다 높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심근경색증으로 한 번 손상된 심장 근육은 재생되지 않아 발생범위가 작을수록 치료결과뿐만 아니라 치료 후 삶의 질을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한주용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2006년 1월~2009년 11월 급성 심근경색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193명을 분석해보니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의 비만 환자가 정상 체중 환자보다 심근경색이 생길 범위가 작았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관상동맥질환 분야 국제학회지(ATHEROSCLEROSIS) 최근호에 실렸다.
의료진에 따르면 비만 환자(83명)와 정상 체중 환자(110명)를 비교 분석한 결과, BMI 이외에 다른 임상 차이는 없었다. 비만환자 그룹의 평균 BMI는 27㎏/㎡로 여기에는 고도비만 환자(30㎏/㎡)도 5명이 있었다. 반면 정상체중 환자의 BMI는 22.6㎏/㎡이었다.
비만환자 그룹과 정상체중 환자 그룹의 평균 나이는 각각 56.2세, 58.3세로, 같은 연령대이면서 남성이 대부분(90.4%, 84.5%)을 차지한다는 점도 비슷했다. 또 흡연율을 포함해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 심근경색과 관련한 요인을 가진 환 비율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심근경색이 발생한 부위의 크기는 달랐다. 심장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결과, 비만 환자에서는 좌심실 전체 용적 대비 심근경색 크기가 17.9%였지만 정상 체중 환자에서는 20.8%였다. 심근경색 발생 가능영역 측정에서도 비만 환자의 경우 좌심실의 29.4%에서 심근경색이 생길 위험이 있다고 평가됐지만 정상 체중 환자는 36%로 오히려 더 높았다. 이는 향후 심근경색이 재발하거나 관련 질환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6개월 추적관찰에서도 비만환자 그룹의 경우 심장질환에 따른 사망자가 한 명도 없었던 반면 정상체중 환자 그룹에서는 3명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 교수는 "비만 환자가 심근경색 후 오히려 사망률이 낮다는 보고가 있었던 반면 이와 상반된 연구 결과도 있어 논란이 계속돼 왔다"며 "'비만의 역설'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지만 비만이 다른 심장질환의 발병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도 하는 만큼 적당한 운동과 건강한 식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권대익기자 dkwo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