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앙정부 인허가 절차 완료
부지 나뉜 탓 산업 연계성 떨어지고 연구단장 선정 논란에 과학계 갈등
이명박 정부의 주요 과학기술사업 중 하나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가 3년여 동안 지연되다 2015년부터 공사가 본격 시작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4일 “거점지구 조성공사를 2019년까지 완료해 과학벨트를 국가 신성장동력이자 세계적 과학기술 기반 혁신 클러스터로 개발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달로 중앙부처 인허가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그러나 과학계의 해묵은 갈등이 여전한 데다 애초 취지와 달리 비즈니스와의 연계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2011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신동ㆍ둔곡 지구가 거점지구로 선정된 뒤 과학벨트 사업은 부지매입비 부담을 놓고 암초를 만났다. 국고를 쓰자는 대전시와 지자체가 부담해야 한다는 미래부가 팽팽히 맞선 것. 미래부와 대전시는 지난해 핵심 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을 대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에 짓고(무상영구임대), 주요 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 부지는 다소 줄여 국고 3,600억원으로 매입한다는 협약을 맺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로써 도룡지구에는 IBS와 함께 과학문화테마공원이 조성되고, 신동ㆍ둔곡지구에는 가속기와 정주환경을 갖춘 연구ㆍ산업 복합단지가 들어서게 됐다. 11월 엑스포과학공원 철거를 시작으로 IBS 착공은 2015년 8월, 완공은 2017년 말로 예정돼 있다. 가속기는 11월 말 기본설계에 착수해 2016년 착공, 2021년 완공이 목표다.
애초에 과학벨트는 세계의 두뇌들을 끌어들이고, 기초과학 연구가 현장에서 산업화로 이어지는 창의적 환경 구축을 목표로 출발했다. 하지만 도룡지구가 거점지구에 추가로 포함되면서 산업(신동ㆍ둔곡지구)과 연구(도룡지구)가 물리적으로 분리돼 이 같은 취지가 무색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또 중이온가속기 완공 시점이 2015년에서 2021년으로 미뤄지면서 당초 계획대로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유사한 외국 가속기들이 성능 향상에 들어갔거나(캐나다, 프랑스) 2020년 전후로 완공(미국, 독일)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박재문 미래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거점지구에 기업활동 인프라를 조성하면서 청주나 세종, 천안 등 주변으로도 산업 영역을 확장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고, 우리 가속기가 실험 범위와 생산 가능 물질이 가장 다양하기 때문에 가치는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문제는 과학벨트의 중심이어야 할 과학계에서 대규모 연구비를 지원받는 IBS 연구단장과 원장, 가속기사업단장 선정 과정 중 편파심사, 사전내정 등 논란이 계속되며 내분 양상마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약 7개월 간 공석이던 IBS 2대 원장에 22일 취임한 김두철(통계물리학) 서울대 명예교수의 리더십에 정부와 과학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다.
임소형기자 precar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