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작년에 하루 평균 40명 자살…OECD 최고 수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작년에 하루 평균 40명 자살…OECD 최고 수준

입력
2014.09.23 13:45
0 0

전체 사망자수 7년만에 줄어…암·심장·뇌혈관질환 47% 차지

마포대교 중간 상류측 전망대에 설치된 황동 재질의 '한번만 더' 동상. 실의에 빠진 한 남자를 다른 남자가 볼을 꼬집으며 위로하는 모습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마포대교 중간 상류측 전망대에 설치된 황동 재질의 '한번만 더' 동상. 실의에 빠진 한 남자를 다른 남자가 볼을 꼬집으며 위로하는 모습이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감소세를 보였던 자살 사망자 수가 지난해 다시 늘어났다. 작년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은 하루 평균 약 40명에 달한다.

지난해 전체 사망자 수는 온화한 날씨 때문에 이전보다 줄었지만, 폐렴 사망 환자는 고령화 영향으로 계속 늘고 있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13년 사망원인통계'를 23일 발표했다.

◇ 자살률 인구 10만명당 28.5명…OECD 최고 수준

지난해 자살로 사망한 사람은 모두 1만4천427명으로 1년 전보다 267명(1.9%) 늘었다. 하루 39.5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이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도 28.5명으로 전년대비 0.4명(1.5%) 증가했다. 자살 사망률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6.0명(26.5%) 늘어났다.

2003년 22.6명이었던 자살률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09년 31.0명, 2010년 31.2명, 2011년 31.7명으로 가파르게 올라가다가 2012년 28.1명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다시 상승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12년에 자살이 크게 감소한 뒤 지난해에는 미미하게 증가했지만 사실 큰 변동이 아니며 올해도 전년 수준과 비슷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2012년 이후에는 유명인 자살에 따른 '베르테르 효과'가 적었고, 그라목손 등 맹독성 제초제 유통이 금지돼 이전보다는 자살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한국의 자살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이다.

OECD 평균 자살률은 12.1명으로 한국의 절반도 안 된다. 일본(20.9명)과 폴란드(15.7명) 등이 OECD 국가 중 상대적으로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보다는 훨씬 낮다.

지난해 자살률을 성별로 분석하면 남자 자살률은 39.8명으로 여자 17.3명보다 2.3배가량 높았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남자 자살률은 4.2% 증가한 반면, 여자 자살률은 4.2%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1년 전보다 30대(3.8%), 40대(6.1%), 50대(7.9%)의 자살률이 증가했다. 이외 연령층에서는 감소했다.

자살은 10대, 20대, 30대 사망원인 1위로 꼽히기도 했다.

◇ 지난해 사망자 7년만에 감소…알코올로 하루 12명 이상 사망

지난해 전체 사망자 수는 26만6천257명으로 전년보다 964명(0.4%) 감소했다. 연간 사망자 수가 줄어든 것은 2006년 이후 처음이다. 남성과 여성 사망자 수 모두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12년 한파 영향으로 사망자 수가 늘었는데, 지난해에는 기온이 상대적으로 온화해 다시 사망자 수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조(粗)사망률(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도 526.6명으로 전년보다 0.8% 줄어 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연령별 사망자 수는 50대(1.3%)와 80세 이상(1.2%)에서 증가했고 10∼19세(-11.9%)와 1∼9세(-7.8%) 사망자 수는 감소했다.

사망률 성비는 모든 연령층에서 남성이 높았으며 50대가 가장 높은 2.85배 수준이었다.

통계청은 사망률 성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추세를 보이다 50대를 정점으로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출생 후 1년 이내의 영아 사망자는 1천305명으로 전년보다 7.1% 감소했지만 영아 사망률(출생아 1천명 당)은 3.0명으로 전년보다 3.1% 증가했다.

영아 사망 주요 원인은 신생아의 호흡곤란 등 출생 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와 선천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이 73.1%로 가장 많았다.

한국의 2012년 기준 영아 사망률은 2.9명으로 OECD 국가의 평균 4.0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는 4천476명(1일 평균 12.3명)으로 전년보다 1.6% 줄었고 알코올 관련 사망률(인구 10만명 당)은 8.9명으로 전년보다 2.0% 감소했다.

남성의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15.6명으로 전년보다 줄었지만 여성은 2.1명으로 전년보다 9.4% 늘어났다. 여성의 알코올 관련 사망률은 50대와 7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늘어났다.

연령표준화 사망률(표준인구 10만명 당 사망자 수)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328.3명), 경기(356.3명), 대전(363.6명), 제주(370.6명)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 '암·뇌혈관질환·심장질환'이 사인 절반 차지…폐렴 증가

한국인의 '3대 사망원인'인 악성신생물(암), 뇌혈관 질환, 심장질환은 지난해에도 전체 사인의 절반에 가까운 47.4%을 차지했다.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인구 10만명당 149.0명으로 사망원인 중 가장 높았고, 뇌혈관 질환(50.3명), 심장 질환(50.2명)이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는 자살(28.5명), 당뇨병(21.5명), 폐렴(21.4명), 만성하기도 질환(14.0명), 간의 질환(13.2명), 운수 사고(11.9명), 고혈압성 질환(9.4명) 순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10-20대의 경우 1위는 자살, 2위는 교통사고 등 운수사고, 3위는 암이었고, 30대는 1위 자살, 2위 암, 3위 운수사고였다.

1∼9세와 40대 이상 모든 연령대는 암이 사망원인 1위였다.

원인별로 보면 1년 전보다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이 많이 증가한 사망원인은 폐렴(0.9명·4.4%), 폐암(0.9명·2.7%), 자살(0.4명·1.5%) 등이었다.

폐렴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사망률이 15.6명, 272.7%나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노인이 걸리기 쉬운 병인 폐렴은 고령화의 영향으로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반면 1년 전보다 만성하기도 질환(-1.6명·-10.0%), 호흡기 결핵(-0.4명·-8.8%), 교통사고(-1.0명·-7.7%) 등은 사망률이 줄었다.

암으로 인한 사망 중에는 폐암(34.0명), 간암(22.6명), 위암(18.2명)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지난해 암 사망률은 1년 전보다 2.5명(1.7%) 늘었는데, 남자는 1.7명(0.9%), 여자는 3.3명(3.0%) 각각 늘었다.

지난해 순환기계통 질환 사망률은 1년 전보다 4.0명(-3.4%) 감소했다.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고혈압성 질환 순으로 많았다.

사고사 등 외인(外因)에 의한 사망률은 61.3명으로 전년보다 0.9% 줄었다. 구성 항목을 보면 자살(28.5명), 교통사고 등 운수사고(11.9명),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추락사고(4.6명) 순이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