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시다 증언 과거기사 취소 관련 보수세력 꼬투리 잡기에 일침
아사히신문이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과거 기사를 취소한 것을 계기로 확산되고 있는 보수 우익 세력들의 고노(河野) 담화 무력화 시도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핵심은 변하지 않는다”며 거듭 반성을 촉구했다. 자사의 오보기사와 고노 담화와는 무관한데도 이를 꼬투리 삼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16면
아사히신문은 이날 “5,6일자 위안부 문제 특집 기사를 통해 일본군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제주도에서 많은 여성을 강제로 끌고 가 위안부로 삼았다는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ㆍ사망)의 증언이 허위라고 판단, 기사를 취소한 것을 근거로 일부 세력이 고노 담화의 근간이 무너졌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에 대해 “고노 담화는 일본군, 조선총독부, 일본군 위안부 관계자의 증언을 비롯, 일본 관계부처, 미국 공공기록 사무실 등에서 수집한 방대한 자료를 근거로 작성했다”며 “일본 정부 관계자가 담화 작성 과정에서 요시다와 접촉, 증언을 청취했지만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담화에 채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고노 담화의 요지는 (위안부의) 모집, 이송, 관리 등이 감언, 강압 등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이뤄졌다는 것”이라며 “요시다의 증언처럼 (직접적인) ‘강제연행’ 대신 여성의 자유로운 의사를 빼앗은 ‘강제성’을 문제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아베 정권이 6월 발표한 고노 담화 작성 과정에도 요시다의 증언을 둘러싼 경위가 나오지 않는 것도 담화와 요시다의 증언과는 무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담화 발표 4개월전 다니노 사쿠타로(谷野作太?) 당시 내각 외정심의실장이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강제란 단순히 물리적인 강제뿐 아니라 협박, 위협으로 자유로운 의사에 반하는 것이 포함된다”고 답한 바 있다.
신문은 한국에서 위안부 문제의 관심이 확산된 경위도 소개했다. 1990년대 군사독재정권이 막을 내리고 사회의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위안부 문제에 관심이 커졌다. 1990년 1월 윤정옥 당시 이화여대 교수가 일본과 동남아에서 위안부 생활을 한 할머니들의 증언을 언론에 소개했고, 1991년 8월 김학순 할머니가 자심이 위안부였음을 실명 공개한 것이 발단이 됐다는 것이다. 93년에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성행위를 강요당하고 폭력과 불임 등의 후유증에 시달린 위안부 19명의 증언집을 출간했다.
신문은 “당시 아사히신문 기사에 요시다의 증언이 나오면 한국 기자들이 이 내용에 대해 자주 묻곤 했다”며 “이는 한국에서 요시다 증언이 일반적이지 않았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라고 전했다. 당시 대일외교에 간여한 전직 외교관은 “한국 정부가 인식하는 위안부 강제성의 가장 큰 근거는 위안부 본인들의 증언”이라며 “요시다의 증언의 진실 여부가 문제의 본질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신문은 “요시다 증언의 진실 여부와 고노 담화와는 무관한데도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이 26일 전후 70년이 되는 내년에 고노담화를 대체하는 새로운 관방장관 담화를 발표하라는 제안문서를 제출했다”며 “요시다의 증언이 고노 담화의 근간으로 오해하는 지적이 있어 다시 포인트를 정리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도쿄=한창만특파원 cmha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