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가 또다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처음으로 1천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는 5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분기 중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가계신용은 1천40조원으로 3개월 전보다 15조1천억원(1.5%) 증가했다.
가계신용은 1년 전에 비해 60조4천억원(6.2%) 늘었다. 이는 지난해 명목 국민총소득(GDP) 증가율인 3.7%를 크게 넘어선 것이다.
가계신용 증가율이 가계소득 증가율보다 높으면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고 이는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가계신용은 가계부채의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통계로, 예금취급기관은 물론 보험사·연기금·대부사업자·공적금융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과 카드사의 판매신용까지 포함한다.
가계신용은 작년 1분기 중 9천억원 가량 줄었으나 2분기 16조7천억원 증가한 데 이어 3분기 14조원, 4분기 27조7천억원, 올해 1분기 3조5천억원 늘어나면서 1년3개월째 사상 최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2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982조5천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4조8천억원(1.5%) 늘었고, 판매신용은 57조5천억원으로 3천억원(0.6%) 증가했다.
1분기에 주춤하던 가계부채 증가 폭이 다시 확대된 것은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과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특히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폭은 1분기 1천억원에서 2분기 8조3천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이재기 한은 금융통계팀 차장은 "보통 3∼6월은 이사철이어서 주택 거래량이 늘어나고 대출도 증가하는 시기"라며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높이려는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혼합형대출(고정금리+변동금리) 영업에 나서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분기 338조3천억원으로 전분기보다 7조4천억원 늘었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 폭이 1분기 3조2천억원에서 2분기 6조4천억원으로 두 배 확대된 것도 전반적인 가계부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2분기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4.0% 늘었지만 이자율이 은행권보다 높은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대출은 10.0%, 기타금융기관은 6.7% 증가했다.
한은은 현재 가계부채 증가세가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한 이번 달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이후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과거 가계부채 증가 요인을 분석해보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주택경기"라며 "지금의 경제 여건이나 인구구조 변화, 주택수급을 고려할 때 가계부채 규모는 크게 우려할 만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재기 차장도 "올해 2분기 가계부채 증가 폭 15조1천억원은 작년 2분기의 16조7천억원보다 둔화한 것"이라며 "급격한 증가세를 걱정할만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당분간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이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총부채상환비율(DTI),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 완화로 3분기에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더 가팔라질 전망"이라며 "가계소득 증가 속도에 맞춰 가계부채 증가세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