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근 거취·황우여 내정 소식, 할 말은 못하고 靑서 통보도 안 해
‘수평적 당청관계’를 강조했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스텝이 초반부터 꼬였다. “할 말은 하겠다”던 약속은 식언(食言)이 됐고, 엉뚱한 해명을 하다가 거짓말 논란에까지 휩싸였다.
김 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근의 인사 문제와 관련해 청와대와 사전 교감이 있었음을 애써 강조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 회동에서 황우여 전 대표에 대한 말씀이 있었다”면서 “그간 대통령과의 대화는 어떤 경우라도 보안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있었던 일도 없었다고 얘기했는데 그 때문에 오해가 생기는 일도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정성근 전 문화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 과정에 있어서도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시키는 데 주력했다. 그는 “(자진사퇴 발표 전에) 전화가 왔었는데 못 받았다”면서 “차후 (전화를) 드렸더니 그런 전달이 있었던 점을 확인한다”고 했다.
이 같은 언급은 황우여 교육부 장관 후보자 내정과 정 전 후보자 사퇴 과정에서 “김 대표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소외된 것 아니냐” “할 말은 하겠다더니 뭐 하는 거냐”는 등의 비판에 대한 해명의 성격이 강하다. 실제 김 대표는 황 후보자 내정 사실을 사전에 몰랐다고 했고, 정 후보자의 자진사퇴 직전에도 언론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의 임명 강행을 두둔했었다.
하지만 김 대표의 해명은 비판의 핵심을 비켜갔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정 전 후보자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서는 사전에 통보를 받았는지보다 ‘임명 불가’ 여론과 당심을 제대로 전달했느냐가 중요했는데, “인사 문제는 맡겨달라”는 박 대통령에게 적극적으로 의견 표명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15일 밤부터 16일 새벽 사이에 정 전 후보자의 자진사퇴가 결정되는 과정에서 김 대표는 사실상의 제3자였다. 물론 자진사퇴 소식을 좀 더 일찍 알았더라면 모양새가 우스워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황 후보자 내정과 관련해서는 불필요하게 청와대를 자극하는 듯한 상황이 됐다. 김 대표는 자신의 소신대로 ‘하얀 거짓말’을 했겠지만, 청와대는 비주류 여당 대표를 무시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불필요한 갈등 상황이 만들어진 것이다. 더욱이 당 대표 취임 첫 날 국민과의 소통 창구인 언론을 향해 거짓말을 한 셈이기도 하다.
한 중진의원은 “김 대표 입장에선 자신이 청와대와 소통이 가능하고 할 말을 하는 대표라는 점을 각인시키고 싶었을 것”이라며 “하지만 당청관계와 관련해 불필요한 논란과 구설수만 만든 셈이어서 이래저래 스텝이 꼬이게 됐다”고 촌평했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