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에서 잇따라 발견된 큰빗이끼벌레에 대해 “문제가 없다”던 환경부가 뒤늦게 생태환경조사에 나서 유해성 여부 등을 파악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국립환경과학원, 4대강 유역환경청, 물환경연구소,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조사단을 꾸려 11월까지 4대강(한강ㆍ금강ㆍ낙동강ㆍ영산강) 본류의 큰빗이끼벌레 분포ㆍ유해성ㆍ관리방안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이겠다고 15일 밝혔다. 정부 차원에서 큰빗이끼벌레 종합 조사ㆍ연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환경단체들은 금강, 낙동강, 영산강, 한강에서 발견된 큰빗이끼벌레를 강물이 호수처럼 변하는 호소화(湖沼化)의 증거로 지목했었다. 호수나 저수지에 주로 서식하는 큰빗이끼벌레가 강에서 발견된 것은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보 건설로 물 흐름이 느려진 탓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환경부는 이달 4일 공식 블로그에 ‘큰빗이끼벌레의 진실’이란 글을 올려 “큰빗이끼벌레가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고, 오염도가 높은 수역에서는 생육이 어렵다”며 환경단체의 문제제기를 적극 반박했었다. 그러다 큰빗이끼벌레의 인체유해성, 수질오염 유발 여부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뒤늦게 조사ㆍ연구에 착수,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부 수생태보전과 관계자는 “큰빗이끼벌레가 독성을 갖고 있다는 학계의 보고는 없으나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조사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뒤늦은 실태조사조차 실효성이 높지 않다는 지적이다. 녹색연합 황인철 평화생태국장은 “4대강을 관리하는 한국수자원공사가 4대강 유역에서 발견된 큰빗이끼벌레를 수거해 다른 곳에 버리고 있어 제대로 된 실태조사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환경부는 진작 실태파악에 나섰어야 했다”고 말했다.
변태섭기자 liberta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