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사전 조치에 성의 보여 中 체면 살려 주면 최상 조건
시진핑 국가주석은 3일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취임 후 북한보다 남한을 먼저 찾는 파격을 선보였다. 이제 관심은 북한이 그토록 원하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방중이 언제 성사될지에 쏠려있다. 천안함 사건 직후인 2010년 4월 30일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 주석이 상하이에서 정상회담을 가졌지만, 불과 3일 후인 5월 3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전격 방중하면서 우리 정부가 난처해진 경험도 있다.
시 주석은 당초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북한을 찾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했다고 한다. 하지만 핵 보유를 고집하는 김정은의 완강한 태도로 인해 생각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 소식통은 8일 “시 주석이 북한에 먼저 가지 않은 건 남한이 더 좋아서가 아니라 북한을 방문할 만한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김정은의 방중을 좌우할 우선 요인은 북핵 대화 재개 여부다.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에 성의를 보여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의 체면을 살려준다면 최상의 조건이 된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과거 중국 최고지도자와 달리 시 주석은 북핵 불용 원칙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어 북한이 고개를 숙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북한이 버티고 있지만 그리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관계에 북한이 얼마나 전향적으로 나설지도 변수다. 북한이 7일 대외입장 발표의 최고 수위인 공화국 정부 성명으로 인천 아시안게임에 응원단을 파견키로 한 것은 다분히 중국을 의식한 대남 평화공세의 일환으로 보인다.
8월로 점쳐지는 아베 신조 총리의 방북이 실제 이뤄질 경우에는 김정은의 방중에 미칠 영향력은 양면적이다. 일본이 대북 제재를 일부 해제하면 북한의 대외관계에서 유연성이 강화돼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질 수도, 반대로 기존의 핵 개발을 지속할 유인이 더욱 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황지환 서울시립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북일 양국간 합의 이행이 오랜 혈맹인 북중 관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중국은 일본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김정은의 방중 일정을 조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