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소비 증가가 부진한 원인이 불안한 노후대비 탓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수명은 늘었는데 소득 수준과 은퇴 시기는 변함이 없어서 은퇴 후 생활 걱정에 소비성향을 낮추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이런 내용을 담은 ‘연령별 소비성향 변화와 거시경제적 시사점’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국내총생산(GDP)은 연평균 4.1%씩 늘었지만 실질 민간소비의 연평균 증가율은 3.2%에 그쳤다.
무엇보다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졌다. 평균소비성향은 소비지출액을 처분가능소득액으로 나눈 수치다. 전체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2003년 0.78에서 지난해 0.73으로 떨어졌다. 가구가 100원을 번다고 할 때 2003에는 78원을 썼지만 지난해에는 73원만 쓴 셈이다.
특히 50대 이상 고령층에서 평균소비성향 하락이 두드러졌다. 50대의 소비성향은 2003년 0.75에서 작년 0.71로, 60대는 0.78에서 0.70으로 떨어졌다. 70대의 경우는 하락폭(0.94 →0.76)이 더 컸다. KDI는 “살 날은 늘었는데(기대수명 증가) 은퇴 시기는 그대로인 탓”이라고 설명했다.
과도한 자녀 교육비도 노후대비를 어렵게 하면서 소비 둔화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지적됐다.
국내에서 가구주가 40대인 가구는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처분가능소득의 14% 정도를 교육비로 써왔다. 미국은 이 비율이 2.1%에 불과하다. KDI는 “현재 40, 50대는 교육비 지출이 가장 많았던 세대로서 이들이 제대로 노후대비를 못한 채 늙으면 민간소비가 더 둔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최근의 민간소비 부진은 기대수명 증가라는 구조적 요인에 크게 기인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며 “따라서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도 단기적 수요진작 관점보다는 구조적 대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김민호기자 kimon87@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