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실종자 수색 중이던 민간 잠수사가 숨졌는데도 해경은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색작업을 총지휘하는 해경은 민간 잠수사들의 자격증 보유 여부도 확인하지 않고 작업에 투입했으며, 보험 가입도 해주지 않았다. 그러나 해경은 모든 책임을 민간 구조업체 탓으로 돌리고 있다.
7일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전날 사망한 민간 잠수사 이광욱(53)씨는 잠수 관련 국가 공인자격증이 없는데도 확인 절차 없이 수색작업에 투입됐다. 조류가 빠르고 시야도 불량한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을 해야 하지만 만일을 대비한 보험 가입은 얘기도 꺼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문제점에는 이씨뿐 아니라 수색작업에 나선 민간 잠수사 대부분이 직면해 있다. 해경 관계자는 “우리에게 자원봉사로 접수된 민간 잠수사는 자격증을 보고 건강 상태 등 잠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을 묻는 절차를 거쳐 투입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지난달 17, 18일 수색작업에 참가했던 민간 잠수사 A(50)씨는 “해경이 함께 간 민간 잠수사 6명 모두에게 경력만 물었지 자격증 확인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도현 해군 해난구조대(SSU) 전우회장은 “아무리 베테랑이라도 심해잠수에서는 급박한 상황에 당황해 사고로 이어지기 십상”이라면서 “엄격한 교육을 받고 심해잠수 국가자격증을 가진 사람만 수색에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원봉사로 사고 현장에 투입된 민간 잠수사 대부분은 보험에 가입되지 않았다. A씨는 “물어보지도 않는데 봉사활동 하겠다고 온 사람들이 보험 들어달라고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민간 잠수사들이지만 불의의 사고를 당해도 보상 여부가 불투명한 셈이다.
사망사고 발생 직후 해경의 책임 떠넘기기는 극에 달했다. 6일 이씨가 사망한 직후 해경은 “이씨는 민간 구조업체 언딘 소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언딘이 “이씨와 계약한 사실이 없고, 해경이 우리측에 배정해 작업 관리만 했다”고 반박하자 몇 시간 만에 “민간 잠수사들의 피로 누적에 따른 대체인력 확보를 위해 언딘에 민간 잠수사를 50명 이상 확보해달라고 요청했고, 언딘이 인명구조협회 등을 통해 인력을 보강했다”고 번복했다.
하지만 해경이 이씨의 유족들에게 한 말은 또 다르다. 이씨의 처남 김현철(49)씨는 “처음에는 해경이 매형에게 구조작업에 와달라고 연락한 적이 없다고 하더니 얼마 후 자기들이 매형의 (연락처 등) 정보를 언딘에 넘겨주고 데려와 달라고 했다며 말을 바꿨다”고 주장했다.
한 민간 잠수사는 “4일 박근혜 대통령이 현장을 방문해 잠수사들에 대한 지원을 언급하자 급하게 사람을 채우려고 무리한 것”이라며 “민간 잠수사의 사고 책임은 해경이 져야 한다”고 말했다. 장병수 언딘 이사는 “상황이 급박할 때는 ‘일단 배정해서 작업하라’고 지시해놓고 사고가 나니 우리에게 책임을 다 미루고 있다”면서 “지원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수색에 나선 잠수사들의 해경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진도=안아람기자 oneshot@hk.co.kr 정지용기자 cdragon25@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