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군 합동구조팀이 세월호 침몰 사고 나흘 만인 19일 선체 진입에 성공한 뒤 구조작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하지만 구조팀은 선체와 주변에서 구명복을 입은 시신을 잇따라 수습해 올릴 뿐 여전히 생존자 구조 소식은 없다. 구조대가 싸늘한 주검을 건져 올릴 때마다 유족들은 오열했고 감감한 구조 소식에 실종자 가족들의 가슴은 시커멓게 타 들어가고 있다.
선체 진입 성공하고도 시신 수습만
합동구조팀은 19일 밤 선체 진입에 성공한 데 이어 모두 5개의 루트를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실종자 수색에 나서 모두 22구의 시신을 수습했다. 구조팀은 19일 밤 11시48분쯤 미리 설치한 유도줄을 통해 침몰한 선체의 4층 객실로 접근한 뒤 유리창을 깨고 처음으로 선내에 진입했고 3구의 시신을 수습하는데 성공했다. 3구의 시신 모두 구명복을 입은 단원고 학생들로 확인됐다.
구조팀은 이후 20일까지 선수 부분과 선체의 중앙부 등 5개 군데로 연결된 유도줄을 통해 침몰한 세월호에 접근했지만 생존자를 찾는 데는 실패했다. 잠수사 8~10명을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집중 수색에 나섰지만 선내 격실에서 18구와 주변에서 4구의 시신을 추가로 수습했을 뿐이다. 선내에서 수습한 시신도 최초 4층 객실에서 발견한 3구를 제외하고는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없었다. 고명석 해경 장비기술국장은 “시야가 제한돼 있어 잠수부들이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출입구를 찾아 들어가 시신을 수습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수색ㆍ구조활동은 거센 조류에도 막혀 더디게 진행됐다. 구조팀은 오전11시와 오후5시 등 물흐름이 멈춘 정조(靜潮) 시간대에 맞춰 집중적으로 선체 진입을 시도하는 등 거센 물살과의 싸움을 반복해야 했다. 더구나 사고 해역의 조류는 22일쯤에야 가장 약해진다는 관측이어서 생존자 구조활동에 기대를 걸고 있는 실종자 가족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사고 해상에 세월호에서 유출된 기름띠가 확산되면서 수색ㆍ구조활동은 더욱 애로를 겪었다. 해경은 방제정 23척을 동원해 제거작업에 나섰지만 기름띠가 길이 3km, 폭 200m로 넓게 퍼져 있어 방제작업도 더디게 진행됐다.
20일 사고현장에는 긴급 공수된 바지선이 등장해 구조팀 잠수사들의 대거 투입이 가능했다. 여수 등지에서 온 바지선은 곧바로 물밑으로 가라앉은 세월호 선수에 접근해 정박했고 해경과 해군 함정으로 이동한 잠수사와 각종 장비의 ‘플랫폼’ 역할을 했다. 하지만 바지선을 통해 투입됐던 잠수사들도 생존자를 찾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야간에는 군 당국의 협조를 받아 조명탄을 발사하고 채낚기 어선을 현장에 투입해 밤샘 수색ㆍ구조활동이 이어졌다.
수습한 시신 도착한 팽목항은 울음바다
구조팀이 수습해 올린 시신이 속속 도착한 진도군 팽목항은 울음 바다가 됐다. 20일 오전 10시쯤 밤샘 구조작업을 통해 수습한 시신 13구가 해경 경비함정에 실려 오자 선착장에 몰린 가족들은 곳곳에서 “어떡해, 어떡해”라는 탄식과 함께 오열을 터뜨렸다. 119구조대원들이 부두에 마련된 신원확인소로 시신을 운구한 뒤 시신을 확인한 가족들은 “왜 이러고 있어? 집에 가야지!”라고 소리치며 대답없는 아들과 딸을 끌어안고 흐느꼈다. 이날 오후2시 추가로 수습된 3구의 시신이 팽목항에 도착한 뒤에도 똑같은 장면이 반복됐다.
또 이날 밤새 수습한 시신들이 몰리면서 목포 시내 장례식장은 포화상태가 됐다. 목포 중앙병원 장례식장의 경우 시신5구를 안치할 수 있지만 이날만 8구의 시신이 몰리면서 시신 안치할 공간이 부족해 유가족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한편 민관군 합동구조팀은 원격조정무인잠수정 ROV(remotely-operated vehicle ) 2대와 이를 운용할 수 있는 미국 기술진 2명을 현장에 투입키로 해 수색ㆍ구조활동이 더욱 활기를 띌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ROV는 원격 수중 탐색장비로 1980년대부터 깊은 바닷속에서 난파선 탐사, 기뢰 제거 등 위험한 임무에 활용돼 왔다.
진도=하태민기자 hamong@hk.co.kr
강성명기자 smk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