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제로 추정되는 소형 무인기가 공격용으로 활용 가능하며 육ㆍ해ㆍ공군 본부가 밀집한 충남 계룡대까지 정찰 등 사정권에 둔 것으로 분석됐다. 또 북한은 자폭형 무인기를 포함해 총 320여대의 무인기를 운용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 소식통은 8일 "파주와 백령도, 삼척에 떨어진 소형 무인기는 군사분계선(MDL)에서 15∼20㎞ 떨어진 북한군 전방 지역에서 발진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삼척에 추락한 무인기가 MDL에서 130㎞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된 만큼 단순 계산으로도 북한제 무인기의 비행거리는 최대 15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 무인기의 정찰 반경은 평택 주한미군 기지 등 전 수도권을 포함하게 된다.
게다가 정찰용 무인기를 공격용으로 개조하면 비행거리는 최대 200㎞까지 늘어 대전~울진 축선에 있는 핵심 전략 시설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세종청사와 계룡대, 울진 원자력발전소 등이 주요 공격 대상이다.
국방부는 또 "북한은 정찰용 무인기 방현Ⅰ·Ⅱ를 300여대, 시멜은 10여대, 공격용 무인타격기는 10대 미만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길이 5.8m, 폭 5.6m인 자폭형 무인기의 작전 반경은 600∼800㎞에 달해 제주도까지 침투할 수 있다. 정찰과 타격이 모두 가능한 다목적 무인기 두루미는 개발 단계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은 북한 무인기가 예상보다 뛰어난 비행 능력을 갖췄지만, 군사적 위협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라는 입장이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소형 무인기가 공격기로 활용된다고 해도 겨우 2∼3㎏의 TNT를 실을 수 있어 이 정도 자폭 기능으로는 피해를 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북한이 기체 소재를 개량해 무인기 무게를 줄이고 고성능의 생화학무기를 탑재할 경우 적은 양으로도 충분히 대량 살상이 가능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제 연구기관들은 북한이 보유한 화학무기 규모가 2,500~5,000톤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특히 핵ㆍ미사일과 같은 북한의 비대칭 위협에는 킬 체인(북핵 대응 선제타격 시스템), 한국형미사일방어(KAMD) 체제 등 대응 체계가 구비돼 있으나 소형 무인기에 대해선 저고도 탐지 레이더를 도입하는 등 이제 막 준비에 나선 실정이다.
관계 당국은 이런 내용을 9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보고한 뒤 이르면 10일쯤 추락한 무인기에 대한 종합 분석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우리 군 작전 지역에도 정찰용 무인기가 첫 배치된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이날 "군단급 무인기 3,4대를 서북도서에 배치키로 했다"며 "이스라엘에서 만든 헤론과 헤르메스가 후보 기종"이라고 말했다. 실전 배치는 내년 중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김이삭기자 hi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