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북한제로 잠정 결론 낸 무인기 2대가 찍은 사진들을 우리 정보당국이 3일 공개했다. 사진에는 청와대나 해병 부대 등 우리 측 핵심 시설물이 담겨 있어 북한이 보낸 정찰용 무인기라는 당국의 판단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그러나 송신장치의 용도 등 정밀조사를 통해 풀어내야 할 의문점은 여전하다는 평가다.
의문의 송신기 용도
군 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파주에 추락한 무인기에서 0.9㎓ 짜리 송ㆍ수신 장치가 발견되면서 무인기에서 찍은 청와대 일대 사진 등이 당일 실시간으로 북한에 넘어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카메라에서 송ㆍ수신장치에 정보를 전달한 연결 케이블이 없어 전송이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무인기 조종이나 위성항법장치(GPS) 신호를 받는 데 활용되는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무인기에 자동프로그램으로 좌표 입력이 돼 있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 지역에 넘어와서는 고정간첩이 원격조정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군 관계자는 "기체 조종용 전파의 도달 범위에 한계가 있는 만큼 실시간 조정하려면 수 ㎞마다 사람이 서서 릴레이를 해야 하는데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착륙시 조정용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륙지점과 비행목적 논란
두 무인 비행기의 이륙지점을 파악하는 것도 향후 대북감시와 유사시 대응 타격을 위해 풀어야 할 과제다. 정보 당국은 백령도 추락 무인기의 이륙 지점을 황해남도 온천 비행장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그-29 전투기가 배치된 이 기지 상공에서부터 무인기가 레이더에 포착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비행장과 백령도의 직선 거리가 85㎞에 달해 무인기의 왕복 가능성이 낮고, 소형 비행체에 대한 레이더 탐지 능력에 한계가 있는 만큼 단정할 수 없다는 반론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백령도 무인기가 정찰 대신 우리 군의 방공태세 시험 목적으로 비행했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실시간 영상 송ㆍ수신이 불가능하고 실제 찍힌 사진도 구글(인터넷 포털 사이트) 위성 사진보다 해상도가 낮다는 점도 이런 추측의 이유다.
무인기 자폭 공격 가능한가
자폭 공격을 감행할 수 있는 성능인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여전하다. 청와대 방공망까지 뚫린 마당에 폭탄이나 생화학 무기를 탑재하고 주요 시설을 공격할 경우 엄청난 피해가 우려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 상공이 뚫렸다는 사실은 충격적이지만 이 무인기가 유의미한 타격 수단이 될 수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은 "폭탄이나 생화학 무기를 싣기 위해서는 탑재 중량이 커져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무인기 크기도 커지고 레이더에 걸리게 된다"며 "더 정확하고 빠른 미사일을 보유한 북한이 굳이 소형 무인기를 투발 수단으로 사용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경성기자 ficcion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