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키워드인 '창조경제'에 맞춰 기업들도 '창조경영'에 총력을 쏟고 있다. 창조경영은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및 국내경제환경하에서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끊임없는 자기혁신과 창조적 가치창출을 통해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 기업만이 살아남는다. 국내 기업들은 어떤 노력들을 경주하고 있는지 들여다본다.
과거 석유제품 유통은 품질관리 및 유통시장 투명성 등을 위해 정유사-대리점-주유소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 체제로 운영돼 왔다. 그러나 석유제품은 양과 품질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로 유통돼 거래 시 품질, 상표, 계량을 확인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유통구조 파악이 힘들고 불법유통 단속에도 한계가 있는 등 문제점이 많았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전문성 및 인력 부족으로 불법유통 차단에 애를 먹었는데, 이에 가짜 석유제품 불법유통 등 왜곡된 석유시장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2009년 5월 종전의 품질관리 전담기관인 '한국석유품질관리원'을 '한국석유관리원'으로 확대 개편해 유통 전반을 관리하도록 했다.
한국석유관리원은 2012년부터 가짜석유 제조 주요 원료인 '용제'가 불법유통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최종 소비처에 제품이 정량으로 제대로 공급이 됐는지 확인하는 등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불법유통이 확인된 사업자에 대해서는 용제 공급을 중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간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용제의 생산-유통-소비 등 전 유통단계가 드러났고, 유통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용제가 자동차용 연료로 불법 전용되는 것을 원천 차단했다.
실제로 지난해엔 경북경찰청과 합동으로 단속에 나서 전국적으로 약 2억4,000만 리터의 가짜 휘발유를 유통한 조직을 적발하기도 했다. 또 대구ㆍ경북 지역의 길거리 가짜 휘발유 판매소가 급격히 감소하는 등의 성과도 거뒀다.
특히 휘발유 및 경유와 성분이 비슷해 가짜석유의 원료로 전용 가능한 특정용제의 지난해 유통량은 2010년 대비 약 80% 감소했다. 이와 함께 정상휘발유 판매량은 2012년부터 매년 약 3%씩 증가하는 등 석유 유통질서가 점차 정상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가짜석유 원료에 대한 유통흐름을 파악하고, 이상 거래 사업자에 대한 검사를 신속하게 벌여, 건전한 석유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