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가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은 지난해 6월 이후 네 번째다. 또한 올해 상반기에 시 주석의 한국 답방도 예정돼 있고 11월에는 중국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개최를 계기로 박 대통령이 방중한다. 1년여 만에 양국 정상이 여섯 차례나 만나는 것은 전례가 없다.
이처럼 한중 양국 정상이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번 회담을 놓고 상반된 평가도 나온다.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앞두고 균형외교 차원의 배려이자 구색 맞추기다. 외교 소식통은 "한미일 정상회담이 어렵사리 성사되지 않았다면 한중 정상회담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정상회담 성사과정이 그랬다. 우리 정부는 24~25일 헤이그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에 앞서 17일 중국측에 정상회담 여부를 타진했다. 시 주석이 조만간 한국을 찾기 때문에 굳이 정상회담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신중론도 제기됐지만 '한미일' 대 '한중'간 외교적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현실론이 우세했다.
정부가 한중 정상회담을 고집한 것은 막혔던 한일관계에서 실마리를 찾았기 때문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14일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 담화를 수정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고, 청와대는 15일 신속하게 입장을 밝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결국 멀게만 보였던 한미일 정상회담이 극적으로 성사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 정부가 부랴부랴 중국측에도 정상회담을 제안한 셈이다. 이에 중국 정부는 20일 정상회담에 응하겠다는 답을 보내온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소식통은 "이번에 한중 정상이 만나지 않았다면 시 주석의 한국 답방을 앞두고 관계가 서먹해질 뻔했다"고 말했다.
이와 달리 강화된 한중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도 있었다. 박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방영된 네덜란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가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최종 보고서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지 말도록 촉구한 것이다. 이미 중국 외교부가 거부권 행사 의지를 밝힌 상황에서 중국 스스로도 민감해하는 인권문제를 박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제기한 것은 시 주석과 인연을 쌓아온 자신감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나아가 이번 정상회담에서 통일이나 비핵화에 대한 한중간의 논의는 물론이고 중국군 유해 인계식, 안중근 의사 기념관 등 쌍방의 역사문제에 대한 배려나 한중 FTA 연중 타결 노력 등에 의견을 함께한 것은 예사롭지 않은 관계진전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