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 전역을 24시간 들여다 볼 수 있는 고(高)고도 무인정찰기(HUAV) '글로벌호크'(RQ-4 블록30형) 4대를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2003년 도입 필요성을 제기한지 11년 만이다.
방위사업청은 24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 주재로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이 같이 확정했다. 이에 따라 수의계약인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미국 정부로부터 2019년까지 글로벌호크 1세트(4대)를 구매하게 된다. 총사업비는 8,800억원이다.
방사청 관계자는 "고고도 무인정찰기는 북한의 이상 징후를 정밀 감시하고 도발에 신속 대응하는 '킬 체인'(북한의 핵ㆍ미사일 공격 징후를 탐지해 선제 타격하는 시스템)의 핵심 감시ㆍ정찰 자산"이라며 "올 상반기안에 계약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호크는 날씨 제약과 적의 요격 위협에서 벗어난 20㎞ 상공에서 이륙 후 35시간까지 머물며 첨단 영상레이더(SAR)와 전자광학ㆍ적외선 감시장비(EO/IR)로 지상 30㎝ 물체도 식별하는 첩보위성 수준의 성능을 지녔다. 현존하는 최고의 무인정찰기로, 작전 반경이 3,000여㎞에 달해 북한은 물론 중국 일본 등도 정찰이 가능하다.
그간 우여곡절이 많았다. 정부와 군 당국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해 노무현정부 때부터 고고도 무인정찰기 도입을 추진했으나 미사일 개발에 활용될 여지가 있다는 미 정부 규정에 막혀 돈을 줘도 살 수 없었다. 이명박정부 들어 미 정부가 태도를 바꿨지만 가격 상승으로 여의치 않았다. 이에 정부는 가격 인하를 노려 경쟁기종을 놓고 주판알을 두드렸지만 타기종의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져 결국 사업비를 늘리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처럼 첨단 정찰기 도입으로 대북 감시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입수한 정보자산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은 "영상정보를 전문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미 국가정찰국 같은 시스템이 뒷받침돼야 글로벌호크가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경성기자 ficcion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