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우리금융 민영화의 마지막 매물인 우리은행 매각을 놓고 갈팡질팡하고 있다. 당초 지방은행 매각과 상관없이 다음달 매각공고를 낼 예정이었으나 일정을 두 달 미룬 채 아직까지도 매각방식, 최소입찰 금액을 확정하지 않고 있다. 우리은행은 덩치가 큰데다 마땅한 매수희망자도 찾기 힘들어 유효입찰이 성립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번 매각이 4번째 실패로 돌아갈지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방은행 우선협상자가 확정된 지난해 연말부터 매각방식을 놓고 본격적인 검토를 벌였으나 일괄매각과 분할매각을 놓고 쉽사리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12조8,000억원) 가운데 회수 금액(5조7,497억원)이 절반에도 이르지 못한 상황인데도 매각이 자꾸 미뤄지고 있는 것이다. 급기야 26일 금융연구원 주최로 '바람직한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이란 토론회를 개최해 각층의 의견을 청취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매각공고는 당초 다음달에서 6월로 늦췄다. 경남ㆍ광주은행 매각 일정과 별도로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을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원칙이 깨진 것이다. 공식적인 연기 이유는 국회에서 지방은행 매각에 따른 법인세 등을 면제해주는 조세특례법 개정안 처리 불발이지만 속내는 우리은행이 제 값을 받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예금보험공사가 소유한 우리은행 지분(56.97%)을 모두 팔기 위해선 매각금액이 5조~6조원에 달해 인수자가 마땅치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공개적으로 인수를 선언한 교보생명의 경우 당장 동원할 수 있는 현금은 1조3,000억원 내외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최대주주 자리를 넘겨주기 위해선 절반(30%)이상을 매각해야 하는데, 이 또한 3조~4조원의 인수자금을 필요로 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마땅한 후보가 없다면 연기금 등이 포함된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수를 추진하는 방안 등 다양한 분할매각 방안이 있는데 금융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며 "우리은행 매각은 공적자금의 성공적 회수의 관건인데 정부의 소극적 태도 때문에 민영화가 늦어지면 매각가격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박관규기자 ac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