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4 지방선거에서도 서울시장과 경기지사를 특정 정당이 독식하는 이른바 '수도권 동조화'현상이 반복될까.
역대 지방선거를 보면 1995년 치러진 1회 때를 제외하면 서울시장과 경기지사는 특정정당에서 독식했다. 98년 치러진 2회 선거에서는 DJP 연합공천으로 자유민주연합이 후보를 내지 않은 서울과 경기에서 여당인 새정치국민회의 고건(서울)과 임창열(경기) 후보가 당선됐다. 2002년 3회 선거 때부터는 한나라당 후보들이 차지했다. 3회 이명박(서울) 손학규(경기) 후보의 당선을 시작으로 4, 5회 때는 오세훈(서울)- 김문수(경기) 후보가 나란히 재선에 성공했다.
이런 동조화 현상은 우선 수도권에서 영호남과 달리 지역주의가 점차 옅어지는 경향 속에서 설명되고 있다. 정책 이슈를 공유하는 동일한 생활권이라는 점도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된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수도권 자체가 교통과 통신 등으로 하나의 광역생활권으로 묶여 있어 지역별 특성이 반영되는 기초단위 선거와 달리 비슷한 민심의 흐름을 보일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과거 선거에서는 동조화 현상을 이용한 정책 공조도 활발히 진행됐다. 5회 때 한나라당 후보였던 오세훈 김문수 안상수(인천) 후보가 정책연대를 구성해 패키지 선거운동을 했고, 이에 맞서 야권의 한명숙(서울) 유시민(경기) 송영길(인천) 후보도 연대를 선언한 바 있다. 이번 선거에서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정책과 버스공영제 등 서울시와 경기도의 협조가 필요한 공약들이 정책연대 이슈로 거론된다.
하지만 최근까지 여야의 서울시장과 경기지사 후보 구도가 복잡하게 맞물려 있는데다 선거판의 구도를 좌우할 큰 이슈가 부각되지 않고 있어 동조화 내지는 정책연대가 가능할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윤희웅 민정치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여야의 서울시장과 경기지사 후보가 같은 성향의 프레임을 갖고 선거에 나선다면 수도권 동조화 현상은 반복될 수 있다"면서 "여야 간 최종 대진표가 확정되고 정책대결이 본격화하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성환기자 bluebir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