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나 우체국 등 제2금융권에서 금융사기에 이용되는 대포통장 발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은행을 억누르자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는 양상이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전자금융사기인 피싱이나 대출 사기 등에 이용되는 대포통장이 연간 5만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관련법 시행으로 피싱 사기 피해액을 환급하기 시작한 2011년 12월부터 작년 말까지 2년여간 피싱 사기에 이용된 대포통장 수가 4만9,000여개에 달했고, 2012년3월부터 작년 말까지 대출 사기에 이용됐다 지급정지된 대포통장은 5만5,000여개에 달했다.
금융회사 별로 대포통장 발급 비중을 보면 농협 단위조합이 43.4%, 농협은행이 22.7%로 대포통장 3개 중 2개는 농협에서 만들어졌다. 시중은행 중에는 국민은행 비중이 8.8%로 가장 높았다.
문제는 새마을금고와 우체국에서 대포통장 발급 비중이 크게 늘었다는 점. 작년 하반기 새마을금고 대포통장 발급 비중은 8.6%, 우체국은 14.9%나 됐다. 이전 2년 가량 동안 각각 2.4%, 1.5%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폭발적인 증가세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권에 대한 대포통장 근절 지도를 강화하자 상대적으로 허술한 2금융권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금감원은 대포통장 근절을 위해 계좌 개설 시 단계별로 주요 의심거래 유형을 마련하고 의심거래로 판단되는 고객은 추가 증빙자료 요청 등을 통해 확인절차를 강화키로 했다. 대포통장으로 의심되는 계좌는 금융회사별 '의심계좌모니터링시스템'에 등록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대혁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