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대지진에 이은 쓰나미로 후쿠시마(福島)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 어제로 꼭 3년이 됐다. 당시 후쿠시마에서 시청 관계자와 인터뷰를 했던 적이 있다. 그는 "원전 안전에 큰 문제는 없고, 정부가 적절히 대처할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 인터뷰가 끝난 뒤 배웅을 받으면서 "안전 문제가 없다는 게 솔직한 답변이었나?"고 재차 묻자, 그제서야 그는 "사실 내 가족도 도쿄로 피신시켰다. 단기간에 해결될 상황이 아닌 듯 하다"며 얼굴을 붉혔다.
■ 그의 예상대로 원전 사고로 인한 피해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행불자를 포함한 사망자만 1만8,000여명이고 임시 거처에서 3년째 생활하는 피난민은 26만여명에 이른다. 여진만 1만여차례 이어졌고 직접적인 경제 피해는 16조9,000억엔(175조원)으로 추산됐다. 여기에 사고 당시 18세 이하였던 주민 25만여명에 대한 갑상선암 의심사례는 늘어나고 있고, 근력저하와 비만 등의 2차 피해도 커지고 있다. 피해 규모가 얼마나 더 커질지 예측불허다.
■ 후쿠시마 악몽의 끝은 어디일까. 1986년 원전 폭발사고를 겪은 구 소련의 체르노빌과 비교해보자. 체르노빌은 지금도 불모의 땅이고 주변 100개 마을도 폐허 상태다. 당시 낙진 형태로 떨어진 방사성 물질의 양이 2차대전 때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10배에 이른다고 하며, 이로 인한 사망자가 3만명에 달한다는 통계도 있다. 완전 회복까지는 100년이 더 걸린다고 하니 가히 원전 사고는 인류 역사의 가장 큰 재앙이 아닐 수 없다.
■ 우리 원전의 안전 여부도 걱정이 된다. 어제만 해도 대구 달성군 인근에서 리히터 규모 2.7의 지진이 발생했다. 한반도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고리원전 측은 후쿠시마 사고를 계기로 56가지 안전대책을 수립했고, 다른 원전도 나름 대비를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돌발 사고는 테러나 시설 노후 등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수십 수백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해 이에 대한 맞춤형 대책을 세워야 한다. 국민 안전보다 소중한 건 없다.
염영남 논설위원 liberty@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