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신당 창당 추진은 상호모순적인 명분과 현실을 주고받은 거래였다. 민주당은 고질적 문제들을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 명분으로 타개해보려는 것이고, 새정치연합은 단기간에 구축할 수 없는 전국적 조직과 인적 네트워크를 민주당으로부터 차용하기 위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잘 되면 승부수지만, 잘못되면 야합으로 비난 받을 것이다. 그 평가는 일차적으로 지방선거 결과에 달려 있다.
현재로서는 득실을 예단하기 이르다. 정치에서 '1+1'이 2가 아니고 1이나 3이 될 수 있듯, 신당은 폭발력을 보여줄 수도 있고 맥없이 주저앉을 수도 있다. 일단 중도층과 전통적 야권 지지층에서는 미묘한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새정치를 갈망하는 사람들은 안 의원 지지를 철회하고 있고, 민주당의 무기력함에 실망했던 야권 지지층은 다시 결집하는 흐름이다.
결국 관건은 신당 창당 과정에서 새정치라는 명분을 얼마나 살릴 수 있느냐다. 더 이상 안 의원의 이미지나 정치혁신이라는 구호만으로 국민 지지를 얻어낼 수는 없다. 가시적이며 실천적인 결과물을 내놓아야 한다. 선거 국면에서는 후보와 정책 공약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후보 면면이 기대에 미치는 수준인지, 선출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한지가 국민들의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만약 후보 선출 과정에서 민주당의 고질적 폐해인 계파 갈등이 재연된다면, 신당은 만드나마나다. 돌이켜보면 2012년 총선의 분위기는 야당 쪽이었지만 결과는 여당 승리였다. 그 직전의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후보가 압도적으로 이긴 여세가 이어졌고 이명박 정부에 대한 비판이 가득했지만, 민주당은 공천 과정에서 계파 나눠먹기의 구태를 보여주면서 패배하고 말았다.
신당도 마찬가지다. 당 강령을 정하고 선거 공약을 내놓고 후보들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계파 간 힘겨루기가 벌어지면, 국민들은 기대를 접을 것이다. 대의와 명분을 내걸고 속으로는 자파 이득만을 추구하는 분파주의에 국민들은 더 이상 속지 않는다. 신당은 그 무엇보다 계파를 초월한 투명하고 공정한 후보 선정부터 이뤄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