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강 최한기(1803~1877)는 조선 후기 과학에 대한 이해와 동서양을 아우르는 사고로 독보적인 인물이다. 평생 벼슬하지 않고 글을 읽으면서 저술에만 전념한 철학자인 그는 성리학에 매몰된 조선의 학문 체계에 과학이라는 실증적 학문으로 새 기운을 불어 넣으려 애썼다. 2권 1책의 필사본으로 된 (1860)은 이 같은 그의 자연철학적 사상의 근거가 녹아 있는 책이다. 그가 앞서 지은 등과 궤를 같이 한다. 19세기 한국 철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이종란씨가 옮긴 우리말 번역본이 처음 나왔다.
19세기 중엽 조선은 세도정치와 삼정 문란으로 정치 혼돈과 민생 도탄에 빠진 시기다. 사상계는 조선 건국이념의 바탕이자 공식 학문으로서 주자성리학 일변도의 획일성을 띠었다. 최한기의 기학(氣學)은 이때 나왔다. 그는 주자성리학과 당시 탄압받던 기독교를 동시에 비판ㆍ극복하고 동서양을 아우르는 새로운 학문을 세우려 했다. 기학의 핵심은 만물의 근원적 존재이자 인간과 만물 속에 들어 있는 생명이 기운인 운화기(運化氣)의 활동운화(活動運化)다. 활동운화란 살아 있는 기가 항상 움직이고 두루 돌아 크게 변화하는 것이다.
최한기는 이런 기학을 통해 민생의 실용에 이바지하고자 했다. 그래서 그의 논리는 주자성리학 극복과 더불어 서양과학과 사상의 비판적 수용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그는 기독교를 서양의 주류 교학으로 보았다. 따라서 두 교학, 주자성리학과 기독교를 극복하게 하는 것이 운화기이며 이 운화기를 측정하고 증험하는 내용으로 돼 있는 게 바로 이 책이다.
은 최한기 전공자인 역자의 해제와 1, 2권 번역의 세 부분으로 크게 나뉜다. 역자는 특히 해제를 통해 지구과학과 관계되는 2권의 의미를 강조한다. 중국 명나라에서 활동한 예수회 선교사 알폰소 바뇨니(1566-1640) 신부의 (1633)를 그대로 답습한 책이라는 일부의 지적이 일면적인 편견에 불과하다는 게 역자의 설명이다.
알폰소 바뇨니 신부가 한문으로 쓴 는 지구에서 일어나는 각종 자연현상과 지구 주위 행성과 별의 운동의 원인을 불, 공기, 물, 흙 등 4원소와 신학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하지만 최한기의 은 4원소적인 자연 이해를 배제하고 자신의 기학적 세계관으로 재구성해 일원화한 주체적 학문 역량이 돋보이는 책이라는 것이다.
김소연기자 jollylif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