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도시건설청 사업총괄과 이경구(49) 서기관은 지난해 말 안면근육이 마비가 돼 말이 어눌하고 음식도 제대로 삼킬 수가 없다. 대전의 한방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장기 요양을 할 수 없는 처지다. 담당 주치의는 누적된 과로가 발병 원인이니 6개월 정도 요양을 권하고 있지만, 오늘도 그는 마스크를 한 채 출근했다.
건축과 김동기 주무관은 밀려드는 업무 폭증으로 가족과 저녁을 먹어본 지 오래됐다며 오늘밤도 야근을 준비한다. 국가균형발전 정책에 따른 행정도시 세종을 건설하는 행복청 공무원들의 일상이다.
행정도시 건설이 본궤도 오르면서 건축인허가, 관리감독 업무 등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으나 인력은 한정돼 있어 공무원들이 과로 누적으로 사기가 떨어지고 있다.
행복청은 지난해 10월 안정행정부에 건축업무 급증에 따른 공무원 정원을 149명에서 160여명으로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안전행정부는 총액예산제를 들어 행복청의 요청을 들어주지 않았다. 겨우 2명을 증원시켰을 뿐이다. 안행부는 행복청 내부에서 업무 조정으로 해결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건축인허가 업무와 토목, 전기, 설계 등은 전문분야다. 72.6㎢나 되는 방대한 건설현장을 고작 5~6명의 건축·토목직 공무원으로 감당하라는 건 정부의 억지이고 갑의 횡포다.
지난해 말까지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를 비롯한 정부기관과 국책연구기관 등 30개 기관, 1만여명이 세종으로 이전했다. 올해 연말까지 신도심 지역으로 3만2,000여명이 입주한다. 정부세종청사 2단계가 완공·입주했고, 호수공원 인근에 입지한 국립세종도서관 이용객이 하루 4,000여명이나 돼 제법 행정도시다운 면모를 갖춰 나가고 있다.
하지만 여기까지 오는 과정은 매우 험난했다. 이명박 정권의 세종시수정안 때는 모든 게 멈춘 상태였다. 행복청 공무원들은 일손을 놓고 하루하루 지루한 나날을 보내야만 했다. 부지조성 공사 현장에서는 굴착기 소리도 멈췄다. 이들은 불확실성 때문에 불안한 나날을 보내면서도 행정도시 건설의 주역이라는 자긍심 하나로 버텼다.
2012년 연말 국무총리실 등 정부세종청사가 이전하면서 "편의시설이 부족하다", "대중교통이 불편하다"는 등 상급기관의 온갖 불평과 불만도 묵묵히 삭혔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행정도시 건설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 시점이다. 자족기능을 갖추기 위한 민간부문 투자, 국제기구 유치 등 인구유입 방안 등 현안이 산적해 있다.
때문에 행정도시 건설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확고하다면 행복청의 정원을 대폭 늘려야 마땅하다. 당장 증원하기 어렵다면 정부 부처간 교환 근무라도 원만하게 해야 하나 이 또한 쉽지 않다. 업무가 과중한 행복청 근무를 기피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행복청 근무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마련해주는 것도 방안이다. 행복청 공무원들은 지쳐있다.
윤형권기자 yhk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