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만큼 ‘카리스마’라는 용어를 남발하는 경우도 드물다. 원어민들은 이 말을 매우 드물게 절제해서 사용하는데 한국인은 유독 얘기를 많이 한다. 이 말의 어원을 살펴보면 본래의 개념과 쓰임은 따로 있다.
‘카리스마’는 본래 기독교 역사에서 유래했다. 희랍어 kharisma에서 연유했고, 특히 kharis(=grace, favor)는 오늘날 영어의 grace(은혜) 발음과 흡사하여 발음이나 철자법으로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당시에는 신의 은총을 받아 병을 고치거나 기적까지 행하는 특별한 ‘은사’를 지칭했다. 지금도 가끔 신도의 병을 고치는 목사가 나타나면 그가 진정한 ‘카리스마’를 지녔다고 말한다. 성령의 힘을 받아 병을 고치며 신의 메시지까지 전달하는 ‘인간 이상의 능력이 있어야’ 진정한 카리스마인데, 현대에 오면서 ‘흡입력의 이미지와 압도하는 매력’을 지닌 사람을 칭찬할 때 사용하게 됐다.
1950년대 이후 영어에서 이 말은 사람을 평가할 때 주로 사용한다. ‘카리스마는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하는 능력을 일컫는 이미지’(Charisma is a fancy name given to the knack of giving people your full attention)라고 정의하는 사람도 있고, ‘매력은 저절로 드러나는 것. 당당함, 매력, 카리스마는 살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냥 있느냐 없느냐로 나뉜다’(Charm is an intangible. Chutzpah, charm, charisma, that kind of thing, you can’t buy it. You either have it or you don’t)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현대인이 charisma를 charm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은 뿌리가 같고 의미가 유사하기 때문인데, 사람들은 ‘아름다움과 매력은 다르다고 말한다. 아름다운 여자는 내가 알아보지만 매력적인 여성은 나를 알아보는 사람’(There’s a difference between beauty and charm. A beautiful woman is one I notice. A charming woman is one who notices me)이라고 설명하기도 하고, ‘Charm is more than beauty’처럼 비교하기도 한다. 카리스마를 정의하는 표현 중에는 ‘Charisma is the fragrance of soul’(카리스마는 영혼의 향수)도 있고, 이를 재해석하여 ‘Charisma is the transference of enthusiasm’(카리스마는 열정의 표현)이라고도 한다. 어떤 이는 ‘He has got a charismatic style’처럼 말한다. 결국 ‘남을 압도하거나 끌어들이는 매력과 힘’은 흔치 않은데 칭찬의 수단으로 남용할 뿐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