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우리나라 수출에서 중국의 비중이 전체의 4분 1이상(26.1%)을 차지하면서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005년 21.8%로 처음 20%를 넘어선 뒤 2010년 25.1%까지 올라섰다가, 2012년 24.5%로 낮아진 뒤 지난해 다시 큰 폭으로 높아진 것이다. 이는 대미 수출 비중(11%)의 2.5배에 달하는 규모다. 이 같은 추세는 한중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되면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시장이 최근 들어 예전 같진 않지만, 여전히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경제의 대중(對中) 수출 증가는 기회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지나친 쏠림 현상이 리스크라는 점도 분명하다.
중국 경제는 지난해 7.7% 성장했다. 2012년과 같은 수준이다. 올해는 7.6% 성장이 예상된다는 게 한국은행 전망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계속돼 온 9% 이상의 고성장세가 최근 주춤해지는 모습이다. 지난해부터는 비제도권 금융인 '그림자 금융'의 급증으로 금융권 부채가 늘면서 자금시장 경색도 이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성장의 중심축을 수출제조업에서 내수확대로 전환하고 있어 기존의 대중국 전략으로는 성장의 과실을 제대로 따먹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의 대중 수출은 주로 원자재와 자본재이고, 이중 50% 가량이 현지에서 조립·가공돼 제3국으로 다시 수출되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정책변화에 맞춰 내수소비재 수출에 공을 들여야 하는 이유다.
중국의 경제 위축은 우리 경제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최근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크게 흔들리고 있는 것도 미국의 양적 완화 축소와 함께 중국 경제 위축에 따른 불안감이 자리하고 있다. 중국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나라 수출은 1.3% 감소할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추정했다. 정부가 올해 목표로 하는 3.9% 경제성장도 상당 부분 중국 경제성장에 달려 있다. 때문에 중국 내수시장 공략으로 기회는 더욱 넓히되, 제3국으로 수출을 다변화해 중국 편중 리스크는 줄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해야 할 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