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4일 남북 이산가족상봉을 제의해 왔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제안한 것에 대한 화답이다. 중간에 고비가 있었지만 뒤늦게나마 북한이 분단의 아픔인 이산가족들의 염원을 받아들인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정부도 "환영한다"며 내달 중순께 상봉을 추진할 것이라고 한다.
북한은 신년 들어 이례적이라 할 만큼 남북관계 개선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여러 차례 제의해왔다. 보수층에서도 "평화 공세" "말 폭탄"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는 북한 최고 권력기관인 국방위원회가 "비방을 중단하자는 등의 '중대 제안'이 결코 위장공세가 아니다"라는 '진심'을 토로하는 공개서한을 보내왔다. 이에 우리측이 비핵화에 대한 입장, 천안함 및 연평도 도발에 대한 조치, 이산가족 상봉 등 '행동'을 요구하자 불과 2시간 만에 이산가족상봉 수용 카드를 제시했다.
북한은 앞서 9일 한미 연합군사훈련 등을 이유로 박 대통령의 상봉 제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금강산관광을 연계하려는 듯한 기존의 태도도 되풀이했다. 그랬던 북한이 아무런 상황변화가 없는데도 보름 만에 입장을 바꾼 배경이 무엇인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이번에는 한미군사훈련 중단도, 금강산관광 재개도 거론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북한이 상봉을 수용한 순수성에 오히려 의구심을 갖는 측면도 있다. 북한이 이렇게 흔들리는 듯한 행보를 보이는 데는 북한의 경제상황이나 내부정세가 그만큼 심상치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어제는 김정은의 지시로 장성택 일가 친인척에 대한 대대적인 처형 및 숙청이 자행됐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이산가족 상봉을 반기면서도 북한의 정세변화에 만반의 대비를 해야 하는 이유다.
북한은 지난 16일 '중대 제안'을 발표하면서 30일부터 상호 비방중지, 군사적 적대행위 전면 중단, 핵 재난을 막기 위한 상호조치 등을 거론했다. 북한의 의도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정부는 앞질러 북한을 의심할 게 아니라 실질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긍정적이고 전향적으로 화답할 필요가 있다. 그게 북한변수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신뢰를 쌓는 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