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開道) 700주년을 맞은 경북도가 올 10월 대구의 '한 지붕 두 가족' 살이에서 벗어나 경북 안동ㆍ예천에 새 집을 짓고 이사간다.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된 후 도청 소재지와 관할구역이 달랐던 경북의 해묵은 숙제가 마침표를 찍는 것이다. 경남, 전남, 충남에 이어 경북이 마지막으로 독립하는 만큼 기대도 크고 준비도 남다르다.
경북도청 이전의 의미는 단순한 소재지 변경에 그치지 않는다. 경북은 물론 대한민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꼽히는 경북 북부권의 새로운 성장 거점이 마련돼 국가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 새 천년의 초석이 될 경북신도청 시대를 미리 가본다.
24일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현장. 허허벌판 가운데 타워크레인과 철골 구조물이 숲을 이루고 있었다. 대구 북구의 경북도청을 출발, 북대구IC와 중앙고속도로 서안동IC를 거쳐 1시간20분 만에 도착한 이곳에는 7층짜리 신청사의 기와 지붕까지 다 올려졌고 안팎으로 마감공사가 한창이었다.
해발 331m 검무산을 뒤로 하고 남향으로 터를 잡은 도청과 도의회 신청사는 2011년 10월 착공해 현재 6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었다. 풍천면 갈전리 24만5,000㎡ 터에 연면적 14만3,059㎡,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로 공사 중인 신청사는 올 10월 준공된다. 최대진 경북도청이전추진본부장은 "생태축을 살린 도청 신도시는 녹지율이 30%가 넘는 물순환형 수변도시로, 지붕에 전통기와를 올리는 도청 건물이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 북부권의 성장 거점이 될 도청 신도시는 풍천면과 호명면 일대 10.96㎢ 부지에 2027년까지 총 사업비 2조7,000억원을 투입, 인구 10만명 규모로 조성된다.
이 공사는 행정타운 조성과 도시활성화, 신도시 완성 등 3단계로 추진된다. 우선 올 연말까지 4.8㎢ 부지에 인구 2만5,000명 수용 가능한 행정타운과 유관기관 용지, 주거용지, 환경에너지종합타운 등이 선보인다. 2015∼2020년 도시활성화 단계에는 3.29㎢ 부지에 주거용지와 상업시설, 종합병원, 복합환승센터 등이 들어서 4만4,000명이 더 살게 된다. 이어 2021∼2027년에는 2.87㎢ 부지에 주거용지와 산업시설, 특성화대학, 테마파크 등 도시자족시설이 갖춰져 3만1,000명이 새로 입주하는 등 총 10만명의 자급자족 도시가 된다.
1970년대 이후 포항과 구미 등 경북 동남ㆍ중부권이 비약적인 발전을 하는 동안 농업에 뿌리내린 북부권은 이농현상으로 인구가 감소하는 등 내리막길을 걸었다. 도청 신도시는 낙후한 북부권의 새 성장거점이자 지역 균형 발전의 중심축이 될 전망이다.
신도시가 조성되면 경북은 구미의 전자산업과 포항의 철강벨트, 안동ㆍ예천의 행정ㆍ문화 3각 거점으로 재편된다. 신도시는 또 중앙ㆍ중부내륙고속도로, 국도 34호선 등 교통망을 끼고 있는데다 앞으로 동서5축, 6축 고속도로, 중앙선 복선전철화로 접근성이 개선된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등이 2010년 추정한 신도시 건설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생산유발 21조1,799억원, 부가가치유발 7조7,768억원, 고용유발 13만6,000여명이다.
고려 충숙왕 원년인 1314년 경상도라는 이름을 얻은 경북이 '개도 700주년'인 올해 신도청 시대를 맞으면서 도민들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전준호기자 jhj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