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안철수 의원 측이 21일 3월 창당을 공식화하면서 6ㆍ4 지방선거는 새누리당과 민주당, 안철수 신당을 포함한 다자구도로 치러지게 됐다. 특히 신당의 출현으로 제1 야당의 지위가 위태로운 민주당과 신당 간 야권 주도권 경쟁이 격화할 전망이다.
안 의원은 이날 제주 벤처마루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여전히 과거를 답습하고 이념과 지형을 볼모로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강요하는 정치, 기초공천 폐지 공약을 손바닥 뒤집듯 하는 정치는 더 이상 안 된다"면서 제3 정당 창당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어 "정치구조를 생산적 경쟁구조로 바꾸는 게 저희의 목표"라면서 "선거용 정당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지방선거 성과를 바탕으로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까지 염두에 두고 정당을 만들겠다는 뜻이다.
창당에 신중했던 안 의원이 '지방선거 전 창당'으로 급선회한 데는 국회에서 표류 중인 지방선거 룰을 감안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가 새누리당 반대로 사실상 물 건너간 상황에서 안 의원 측도 기초단위에 후보를 공천하는 상황을 상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초선거에선 인물 경쟁력보다 소속 정당에 근거한 투표가 이뤄지므로 창당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광역선거에서는 정당이란 틀을 만들어 지지부진한 중량급 인사들의 영입을 가속화하고, 설 명절 '밥상머리 민심'도 공략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월 창준위 발족ㆍ3월 창당' 일정도 사실상 선거일정을 고려한 것이다. 시ㆍ도지사는 2월 4일, 광역시ㆍ도의원, 기초시ㆍ구의원 및 구청ㆍ시장은 2월 21일, 군의원 및 군수는 3월 23일부터 예비후보 등록이 가능하다. 때문에 이들이 신당 깃발을 내걸고 활동하기 위해선 늦어도 3월까지 창당을 마무리해야 한다.
하지만 안 의원의 의도대로 신당이 양당체제를 깨뜨리고 대안정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그간 제3 정당을 통해 양당체제에 도전했으나 실패한 전례가 적지 않았다. 대선 직전 급조된 1992년 정주영 후보의 통일국민당과 97년 이인제 후보의 국민신당, 2002년 정몽준 후보의 국민통합 21 등은 대선 패배 이후 소멸했다. 그나마 충청이란 지역기반을 둔 자유민주연합과 자유선진당,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이 총선에서 돌풍을 일으켰으나 명실상부한 3당 지위를 이어가지 못했다.
물론 돌풍을 예상하는 전망도 적지 않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안철수 신당은 선거 직전 급조한 정당이 아니고 특정 지역이나 이념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과거 정당들과 다르다"면서 "특히 어느 제3 정당도 안철수 신당처럼 30%를 넘는 지지율을 기록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안철수 신당이 민주당의 텃밭인 호남과 수도권 등에서 광역단체장 2곳을 획득하고 영남 등 그 외 지역에선 민주당을 앞선 2등만 차지해도 야권 재편의 주도권을 선점해 정치지형은 크게 바뀔 수밖에 없다. 배종찬 본부장은 "안철수 신당이 지방선거에서 선전할 경우 안 의원이 미래권력으로 부각되면서 차기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소속 의원과 광역단체장의 신당 합류를 통한 야권 재편 내지 통합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김회경기자 herm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