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교육청의 불통ㆍ독선 행정이 지나치다. 학부모의 집단 반발에도 교육청은 신축 개교한 학교에 대규모 증축을 강행하고 있다. 내년까지 신도심에 무려 290개 교실을 증축할 계획이다. 이는 600명을 수용하는 24학급 규모의 학교 16개를 신설하는 수준이다. 증축 예산만해도 1,200억원이 넘는다.
교육청은 학부모와 교사들의 반대를 딛고 교장 공모제를 세종으로만 축소해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교육을 이끌어갈 유능한 교장을 뽑으려면 전국단위로 넓혀 공모해야 한다는 여론이 드세지만 교육청은 귀를 막고 있다.
교육청은 지난해 12월 비정규직 상담교사 12명을 일방적으로 해고시켰다. 이에 반발한 해직 상담교사들이 시민단체와 더불어 교육청 앞에서 27일 째 노숙 농성을 하고 있다. 교육청은 여전히 해결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교육청의 이런 불통은 교육현장에서 후유증을 낳고 있다. 신도심의 학부모들이 이삿짐을 싸 대전이나 수도권으로 되돌아가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2030년까지 자족기능을 갖춘 인구 50만 명의 명품 도시건설에 적신호가 켜진 것이다. 전문가들은 세종처럼 자립경제 기반이 취약한 신도시는 무엇보다 교육이 인구유입과 자족기능을 주도하는 성장동력이라고 제언하고 있다. 때문에 세종 교육에 등을 돌리는 이들이 비록 소수일지라도 예사롭지 않은 상황이다.
학교 증축문제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교육청은 도담중·고 등 이미 개교한 학교에서 290개 교실을 증축할 계획이다. 교육청이 신도심의 학생 수요예측을 과도하게 잡으면서 비롯된 사태이다. 어진동 연세초 학구의 아파트는 전체 가구 중 60%가 입주했다. 하지만 600명 정원인 연세초 재학생은 여지껏 161명에 불과하다. 전입한 학생수가 정원의 30%도 채 안 된다. 이런 추세라면 연말까지 정원의 반도 채우지 못하는 사태가 우려된다. 교육청의 수요예측이 빗나간 첫 사례다.
명품 세종시 건설은 교육에 달려 있다. 그러나 교육은 교육청의 전유물이 아니다. 학생과 학부모, 시민들도 교육의 주체다. 세종교육청만 이를 모르고 있다. 지난해 8월부터 세종교육감은 유고 상태다.
윤형권기자 yhk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