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과대학 대수술에 나선다. 산업기술발전의 산실임에도 불구하고 입학해야 할 학생들도 꺼리고, 졸업생들을 흡수해야 할 기업들도 꺼리는 '이공계 기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기업-대학이 합동으로 공과대학 혁신작업에 나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공대가 창조경제를 이끌 핵심인재 공급처가 될 수 있도록 커리큘럼부터 교수채용, 평가방식 및 관련 법규까지 대대적 개혁작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를 위해 14일 서울 역삼동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관에서 '공과대학 혁신위원회'출범식을 가질 예정이다.
혁신위는 이준식 서울대 연구부총장을 위원장으로 미래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들과 공학계, 산업계 관계자 등 20명으로 구성된다. 매달 한 번씩 회의를 가진 뒤 3월 말까지 개혁안 초안을 만들 예정이다.
미래부는 다음달에 열리는 국가과학기술심의위원회에서 혁신위를 정부 산하 '특별위원회'로 승격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특별위원회가 되면 심의 의결 권한을 갖게 돼 단순자문이 아닌 법 제도 개혁을 직접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공대 개혁에 나선 건 대학의 재정지원이나 교수평가 시스템이 논문숫자 등에만 집착하는 바람에 정작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제대로 키우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 그러다 보니 기업들은 "명문대 공대 출신을 채용해도 처음부터 다시 가르쳐야 한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고, 이 때문에 학생들 역시 소득 높은 의과대학 등만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부는 공대학과 과정에서 전공필수비중을 높이고, 산업계 수요가 많은 기술 위주로 재편한다는 방침이다. 또 실무에 밝은 산업현장인력을 교수진으로 채용하는 대학에 대해선 가산점을 주도록 하고,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기업으로 이전해 자연스럽게 연구개발(R&D) 실적이 산업에 적용되도록 하는 방안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현장 의견을 들어 정부의 대학 재정지원, 대학의 교수평가 제도 등 법과 제도 개혁까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부는 위원회에서 도출된 혁신방안을 공학교육 선도대학과 특성화 대학에 시범 적용한 뒤 일반 공대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최연진기자 wolfpac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