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대선이 끝난 지 1년이 된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이 확정됐을 때 지지했든 안 했든 국민들은 큰 기대를 가졌다. 그러나 1년이 지난 지금, 낙관과 희망을 언급하기에는 나라 안팎이 너무 어렵다. 나라 밖 정세는 미중 간 패권다툼, 중일 간 영토분쟁, 일본의 집단적자위권 추진에다 장성택 처형 등의 북한 사태까지 겹쳐 지극히 불안정하다. 국지적 충돌이 자칫 큰 참화를 빚을 수도 있는 긴장감이 뒤덮고 있다. 문제는 우리 생존과 직결되는 동북아 정세 변화에 지렛대가 없다는 사실이다.
나라 안 정세는 더 답답하다. 대선불복 시비가 터져 나오고 대학가에 붙은 '안녕들하십니까?'라는 대자보가 중심 이슈로 떠오를 정도로 혼미하다. "대선이 지금도 진행 중"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이런 혼돈은 야권의 끊임없는 도전과 불복에도 기인한 바가 있지만,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 등 '과거'를 제대로 매듭짓지 못한 여권에 우선 책임이 있다.
더 큰 문제는 이 나라가 어디로 가고 있다는 방향성이 흔들리고, 이로 인해 미래에 대한 낙관과 확신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국민대통합, 경제민주화, 복지강화' 3대 공약의 후퇴다. 이 공약들은 중도 표를 끌어들여 박 대통령 당선에 크게 기여한 선거 수단만이 아니고 이 나라를 어디로, 어떻게 끌고 가겠다는 대국민 약속이자 비전 제시였다. 국민대통합은 특정지역 인사로 이미 빛이 바랬고, 경제민주화와 복지강화는 경제의 성장과 회생이라는 현실 논리 앞에 고개를 숙였다.
상황이 여의치 못하면 공약은 포기할 수도, 수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가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중대 공약을 후퇴시키려 한다면, 국민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노력과 절차가 필요했다. 이런 소통이 없었기에 국민들은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국가기관 대선개입 사건도 마찬가지다. 철저한 청산 대신 은폐하고 축소하는 모습을 보였기에 분노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지지세력의 결집으로 선거는 이길 수 있지만, 나라를 올바르게 이끌고 발전시키기는 어렵다. 나라 안팎이 어려운 지금, 소통과 통합으로 나라안을 안정시키는 게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그래야 나라 밖 급변사태에도 제대로 대처할 수 있다. 초심으로 돌아가 반성과 각오를 다져야 할 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