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육상진흥센터(사진)가 시설 기준미달로 완공 후 반년동안 문을 열지 못하다 해법도 찾지 못한 채 준공승인부터 획득, 논란을 낳고 있다. 시공사인 삼성물산 컨소시엄 측은 대구시로부터 지급받지 못한 육상센터 공사대금과 관련, 법원에 민사조정신청을 내면서 양자간 책임공방이 법정다툼으로 비화하고 있다.
대구시는 725억원의 예산을 들인 수성구 삼덕동 2만7,00여㎡ 대구육상진흥센터에 대해 3일 준공승인했다. 이에 따라 한국육상대표선수단 35명이 7∼27일 육상센터에서 전지훈련을 벌이고 있다.
당초 육상센터는 올 6월쯤 완공되고도 '선수들이 경기 전에 몸을 푸는 실내 웜업장(850㎡)이 국제대회 유치기준(3,300㎡)에 미달하다'는 이유로 준공 승인이 미뤄져왔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시설 등급 기준을 보면 웜업장에는 4개 레인을 가진 150m 원주 트랙이 있어야 하지만 육상센터에는 직선 레인 뿐이어서 IAAF 주최 대회는 치를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시는 이에 따라 턴키방식으로 진행된 공사 시공사 측에 책임이 있다며 81억7,000만원의 공사잔금을 지급하지 않은 채 삼성물산 측에 육상센터 시설보강을 위한 추가공사비를 요구했으나, 시공사는 "대구시가 승인한 설계도에 맞춰 공사했다"고 시의 책임론을 내세우며 6개월을 끌어왔다.
하지만 시는 시일을 끌 경우 시설보강 사업비 부담만 증가한다는 판단 때문에 우선 육상센터 준공승인을 내주고, 추가 공사비에 대해서는 법원의 조정을 따를 방침이다.
당초 대구시는 삼성물산 측에 30억원을 요구, 20억원 이상은 부담할 수 없다는 회답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웜업장 건립 방식에 대해서도 방침을 정하지 못하면서 해법이 꼬이고 있다.
시는 현재 웜업장을 200m 떨어진 유니버시아드대회 스포츠센터 부지에 건립할 지, 임시시설로 대체할 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1등급 웜업장은 IAAF가 주관하는 '세계실내육상대회'에만 필요한 시설로 2년에 3일 정도 활용되기 때문에 낭비요소가 크다. 건립비용도 80억원 가까이 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IAAF 규정을 보면 웜업장이 필수기는 하지만 임시시설로도 대체가능하다. 이에 따라 세계실내육상대회를 유치할 경우 인근에 임시로 실내 웜업장을 건립, 활용한 후 철거해도 무리가 없다. 문제는 임시 웜업장 건립비용이 15억원 정도로,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기는 하지만 1회성에 그친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스포츠센터 부지 안에 웜업장 건립 시 육상선수 전지훈련과 엘리트 훈련, 지역주민 생활체육 프로그램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계획이지만 예산 부담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웜업장을 영구시설로 할 지, 임시시설로 할 지에 따라 삼성물산 측이 부담할 액수도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구시의 결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준호기자 jhj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